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지친하루를견디자
지친하루를견디자

글로벌 콜드체인 수요 증가가 무역 실무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점차 무역실무적으로 콜드체인 수요가 증가한다는데, 콜드 체인이 무엇인지 개념 설명과 이러한 콜드체인 수요증가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콜드체인은 온도관리가 필요한 물품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며 운송하는 유통방식인데, 식품이나 의약품처럼 품질이 온도에 민감한 제품이 많아지면서 수요가 계속 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무역현장에서는 냉장 컨테이너 확보, 통관 지연 방지, 보관시설 연계 등 여러 부분에서 준비가 필요해지고, 단순 물류비뿐 아니라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도 부담이 커질 수 있어 기업에서는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콜드체인은 식품이나, 의약품 등 온도에 민감한 물품이 생산지에서 소비자에게 도달할떄까지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물류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신선식품이나 의약품 등의 글로벌 교역이 많아짐에 따라 콜드체인의 수요가 증가할 수 있고, 콜드체인은 물품의 품질 및 안정성 확보, 그리고 물류관리의 복잡성 증가로 이어질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온도 유지가 필수인 식품이나 의약품 같은 민감한 품목이 늘어나면서, 콜드체인이라는 개념이 무역 쪽에서도 점점 중심에 들어오고 있습니다. 콜드체인이란 건 말 그대로 생산부터 운송, 통관, 최종 소비자 도달까지 전 과정에서 일정한 저온을 유지하면서 품질을 보존하는 물류 시스템을 말합니다.

    이 수요가 늘어나면 통관 단계에서도 요구되는 조건이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냉장 또는 냉동 상태를 일정 수준 유지해야 하다 보니, 도착 후 통관 지연은 곧 품질 저하로 연결되기 쉽고, 그만큼 통관 절차 간소화나 사전정보제공제도 같은 시스템 활용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또 물류센터나 보세창고도 온도조절 설비를 갖춰야 해서 관련 인프라나 제도도 같이 움직이게 됩니다. 결과적으로는 품목별 특성을 고려한 무역 실무 대응이 점점 더 세분화되고 복잡해지고 있는 셈입니다.

  • 콜드체인의 핵심은 전 과정에서 온도 유지가 끊기지 않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냉장·냉동이 필요한 식품, 의약품, 화훼, 바이오 제품 등의 물류 시스템으로 이용하는것입니다.

    최근 콜드체인 수요는 소비자의 건강·안전 의식 향상, 신선식품 해외 소비 증가,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유통 확대 등에 기인한 것으로 콜드체인이 확대되면서 물류비가 상승될 수 있습니다. 일반 화물보다 냉장·냉동 운송은 비용이 더 많이 들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과 단가 산정에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