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가격과 매매 가격의 관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실제 아파트 매매 가격과 전세 가격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나요?
아파트 매매 가가 높아진다고 해도 전세가 오르지 않는 경우도 있고,
또 전세가는 높아졌지만 매매 가는 동일한 경우도 많더라구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먼저 전세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일정 기간 후에 매매가격도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 이유는 전세가격이 올라가면 그만큼 기대 수익이 증가하므로 주택의 잠재 가치가 상승하기 때문이며, 또한 임차인 중 일부가 주택 임차 대신 구매를 택하는 경우가 생겨서 매매가격을 상승 시키게 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인구구조 변화, 경제 성장률, 금리 등에 따라서 관계가 달라질 수도 있으며 부동산 정책이나 건설 경기 등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시장 동향을 잘 살펴봐야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는 실수요 가격이고, 매매는 투자수요와 실거래 수요가 같이 있는 가격입니다.
보통 전세가격이 올라 매매가격이랑 붙으면 매매가격이 밀어 올라가는 현상이 있습니다.
전세와 매매가격은 비례 관계 일수도 있으며, 그 반대로 나타날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시세와 전세시세는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즉 비례관계라고 보시면 됩니다. 전자의 매매가가 높아지면 전세가 오르지 않는 이유는 해당지역에 임대차 수요가 없거나, 해당 아파트가 오래된 구축이라 전세가율이 낮아 상승정도가 낮을수는 있습니다. 그래도 시세가 오르면 결국 임대차시세도 점차 오르게 됩니다.
반대로 전세가는 높아졌는데 매매시세가 동일한 경우는 흔하게 발생될수 있는데, 이는 해당 지역내 매매거래는 낮지만 임대차수요가 많은 지역특성이 있을 수 있고, 신축으로써 거주환경이 좋은 경우 전세시세가 매매시세보다 더 빠르게 오를수 있습니다. 특히 전체적으로 임대차매물이 줄어들 경우 임대차시세는 매매시세와 관계없이 오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통상적으로 매매 가격과 전세 가격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매매 가격이 상승하면 전세 가격도 오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매매 수요가 높아지면 전세 수요도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매매 가격이 높을수록 전세로 거주하려는 사람들도 많아져 전세 수요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하지만 정부 규제나 대출 조건에 따라 매매가와 전세가가 다르게 움직일 수 있고, 매매가 상승이 전세가에 즉각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아파트 매매 가격과 전세 가격은 여러 경제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항상 비례하지는 않지만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시장경제 원리로 보면 매매가격이 상승하면 물건가치가 상승하므로 매수 가격이 높아져 당연히 전세가격도 높여야 하겠지요
그렇지만 전세가격의 동일선상에서 유지되는 것은 아직 시장에서 상승 여력을 축척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시리라 봅니다 당연히 시간이 흐르면 전세가격은 상승할 수 밖에 시장구조이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매매가가 높아도 전세가가 오르지 않는경우는 전세를 찾는분이 덜할때 가격이 오르지 않고 유지를 하거나 내릴수도 있습니다
전세가가 높아지는데 매매가가 동일할때는 매매보다는 전세를 더찾는 경우에 그렇습니다
매매가와 전세가는 여러 경제적,사회적 요인에 따라 변화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