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그래도훈훈한닭강정
그래도훈훈한닭강정

안녕하세요 퇴직시 연차 발생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2022년 8월 30일 입사(계약직) 2023년 01월01일 정규직 전환

퇴사 2026년 01월 15일 혹은 2월1일인 경우

해당 날짜에 퇴사시 연차 수당을 알 수 있을까요?

P.S 매년1월1일 선지급 연차 발생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귀하의 질문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합니다.

    연차휴가는 입사일 기준으로 산정하는 것이 원칙이나 회계단위로 산정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퇴직 시 전자로 산정한 연차휴가일수가 후자보다 많으면 전자를 적용합니다.

    <회계연도 기준으로 산정>

    입사 후 1년 미만 최대 11일

    2023년 1월 1일에 5일

    2024년 1월 1일에 15일

    2025년 1월 1일에 15일

    2026년 1월 1일에 16일

    합계 51일

    <입사일 기준으로 산정>

    입사 후 1년 미만 최대 11일

    2023년 8월 30일에 15일

    2024년 8월 30일에 15일

    2025년 8월 30일에 16일

    합계 57일

    입사일 기준을 적용해야 합니다. 57일 중 미사용일수에 대해 수당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창국 노무사입니다.

    근로기준법 제 60조에는 입사일자 기준방식으로 연차휴가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입사일자 기준방식에 따르면 2022.8.30 입사자의 경우 2026.1. 또는 2026.2 퇴사시 연차휴가는 아래와 같이 발생합니다.

    1) 2022.8.30 ~ 2023.7.30 : 11개월 동안은 1개월 개근 시 마다 1일의 연차휴가 발생 - 최대 11일 발생

    2) 2023.8.30 : 연차휴가 15일 발생

    3) 2024.8.30 : 연차휴가 15일 발생

    4) 2025.8.30 : 연차휴가 16일 발생

    퇴사자에 대하여 연차수당을 정산할 경우 회사는 입사일자 기준방식으로 계산한 일수 중 미사용일수에 대하여 지급하면 되므로 위 일수 중 미사용한 일수가 있을 경우에만 수당을 정산 받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퇴사 시점에서는 입사일 기준으로 연차휴가를 재정산한다는 규정이 없다면 2026.1.1.에 발생하는 연차휴가에 대한 미사용수당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