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빨노티
빨노티

갑자기 등 위쪽 가운데 통증이 생겼어요

성별
남성
나이대
20
기저질환
거북목
복용중인 약
X

아까 저녁에 알바하고 나서 집에 온 뒤로 등에 통증이 있는데 통증부위가 등 위쪽 가운데에요. 가만히 있으면 그나마 괜찮은데 침삼키고 하면 근육통처럼 뻐근하게 아픕니다. 갑자기 왜 그러는 걸까요? 알바하면서 잠깐 무거운 걸 나르긴 했습니다. 평소 거북목이 있는데 이것 때문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등 위쪽 가운데 통증은 무거운 물건을 들고 등 근육이나 척추 주변 조직에 긴장이 생겨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침 삼킬 때 아픈건 경추나 흉추 근육이 긴장돼 연결된 부위까지 영향을 줄 때나타날 수 있습니다! 거북목이 있다면 자세 부담이 누적되면서 더 쉽게 통증이 생겨 온찜질과 휴식 후에도 지속되면 정형외과 진료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갑작스러운 일로 인한 일시적인 근육통일 가능성이 높지만,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으니 이점은 전문의의 소견을 들어보심이 더 좋겠습니다.

    통증 부위가 등 위쪽 가운데라고 하셨는데 일을 하시는 동안 무거운 물건을 나르는 동안

    목이나 어깨 부위에 힘이 들어가서 생길 수 있다는 근육통으로 가정했을 때,

    자연스럽게 통증이 가라 앉을 것 이라고 예상할 수 있겠습니다.

    통증이 심하시다면 가까운 병원에서 진료 혹은 약국에 방문하시어 소염 진통제를 복용하시거나,

    물리치료나 도수치료 등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치료를 받아보심이 어떨까 합니다.

    평소 거북목 증상이 있으시다면, 통증이 생기지 않는 범위 내 에서 가벼운 스트레칭 또는 이완법을

    해 보심이 어떨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재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목이나 흉추 관절쪽으로 무리가 가면 생기는 연관통 or 근육의 긴장 또는 염좌로 생각이 됩니다. 일자목이나 거북목이 일정부분 영향을 줄 수가 있구요.

    평소 경추신전운동을 훈련해 보시고, 등통증은 하루 이틀 쉬거나 파스/진통소염제 복용후에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정형외과/재활의학과 진료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갑작스런 근육을 과수축하거나, 무거운 걸 나를때 몸의 근육이 지탱을 못해서 근육통 또는 일시적인 통증이 생길수있습니다.

    오늘 오전에 일어나보셔서 통증 확인 후 통증이 있으시다면 가까운 병원에 내원하셔서 전문의에 진료를 권유합니다.

    거북목으로 인한 통증일수도있어서 정확한건 검사 및 진단이 필요합니다.

    평소에 가벼운 운동 및 스트레칭 (맨몸, 폼롤러, 마사지볼, 땅콩 볼 등등)을 자주 해주시고

    컴퓨터나 핸드폰 사용시 자세를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빠른 시일내에 쾌유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

    등 윗쪽은 목의 가장 최하단부와 연결된 부위입니다.

    특히 고개를 숙일 때 부하를 가장 많이 받는 부위다 보니 통증이 자주 생길 수 있는 부분입니다.

    특히 무거운걸 들때 주로 하늘 위로 고개를 들기보다, 아래로 숙여서 드는게 일반적인데요.

    평소에 거북목으로 데미지가 쌓인 상태에서, 무거운걸 들면서 순간적으로 통증이 발생하는 그 이상의 피로가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간단한 물리치료를 통해 이완하는걸 추천드리며, 병원에 내원하여 전문적인 상담을 받는걸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익숙하지 않은 자세에서 일을 하셔서 근육통이 생긴 것 같습니다

    스트레칭을 하고 휴식을 취하시면 증상은 좋아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 정황 상 보았을 때에 일시적인 등 근육 쪽의 염좌 증상일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 소견입니다. 정도가 심하다면 근이완제 및 진통제 복용을 통해서 증상을 조절하고 경과를 지켜보시길 권고드립니다. 만약 시간이 경과하여도 별다른 차도가 없이 증상이 계속 지속되는 양상이라면 큰 문제가 발생한 것은 아닌지 병원에서 진료 및 검진을 통한 감별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을 권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