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를 서울은 12년만에 푼다고하는데 지방은 아직인가요?
지방에도 그린벨트가 엄청 많은거로 알고있는데 균형개발을 위해서는 지방에도 풀어야 맞는거 아닐까요?
인구감소로인해 아파트공급이 계속된다면 나중에 아파트 부동산 가격은 어떻게될까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은 면적이 좁은데다 공급이 부족해서 경기권까지 그린벨트를 풀어서 공급을 하겠다는 것이고 집값을 안정시키겠다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지방은 인구감소가 되고 있고 공급도 많아서 가격이 계속 떨어지는 상황이라 그린벨트를 푼다는 얘기는 없습니다
공급과 수요가 맞는곳은 가격이 안정이 되겠지만 안맞는다면 떨어지거나 오르는 현상이 일어날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의 경우 인구쏠림이 강하고 그러한 인구증가로 인해서 주택수요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한 관계로 서울의 경우 지방과 달리 가격이 높습니다. 반대로 지방의 경우 인구유출로 인해 미분양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즉 지방의 경우 주택이 수요에 비해 공급이 많기 때문에 굳이 그린벨트를 해제를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이 들고
또한 향후 집값은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가 매우 심화되지 않을까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정부가 그린벨트를 해제한 이유는 해당 지역을 택지로 개발하여 주택을 공급하고자하는 목적입니다. 그만큼 서울, 수도권에 대한 공급부족을 해결하고 상승하는 주택가격을 어느정도 방어하기 위해서 입니다. 문제는 지방의 경우 일부지역에는 이미 초과공급과 주택가격의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그린벨트를 풀어 대규모주택단지 개발을 할 이유가 없기 떄문으로 보면 될듯 합니다. 즉, 상황상 지방에 그린벨트를 해제하는게 평등성에는 맞을지 몰라도 실효성은 없을 가능성이 높고 기존 주택들의 주택가격회복에도 악재가 될수 있가에 고려하지 않는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공급의 증가는 가격의 하락으로 이어지는게 일반적인 시장경제에서의 이론이기 떄문에 어느정도 영향을 줄수는 있으나, 공급까지의 시간이 오래걸리는 부동산 특성상 현재 관점에 확답을 할수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지방의 아파트 분양시장은 한겨울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가장 커다란 요인은 인구 감소에 원인도 있겠지만 ㅡㅡ?
실상은 부동산 호황기에 과도한 공급계획을 무분별하게 추진하는 결과가 오늘 현실로 나타나 공급과잉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겟다고 분석됩니다
그리고 지방의 개발제한구역은 필요에 따라 많이 해소하였으며 현재는 최대한 억제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지금은 서울과 수도권 인구 쏠림 현상으로 지방의 그린벨트는 풀릴 계획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그린벨트 해제되는 곳을 보면 서울과 수도권 근교 중심으로 풀고 있어 부동산 가격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구가 준다고 해도 서울과 수도권은 지방에서 상경하는 인구가 있어 가격이 쉽게 떨어질 것 같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