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최근 지방의 매매가와 전세가 미분양이 얼마나 좋지 않은 상황인가요?

올해 수도권의 아파트는 전세가와 매매가 거래량도 증가하는 모습이 나오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최근 지방의 매매가와 전세가하락율은 어느정도이며 미분양이 어느지역 중심으로 증가하는 상황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지방의 주택가격은 약 3% 가량 하락했지만 전세가율은 올라가고 있습니다. 거의 전세가율이 매매가의 80% 정도로 육박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방의 악성 미분양은 대구,경북 등지에서 준공 후에도 미계약 단지 증가폭이 큽니다.

  • kb부동산 4월 기준으로 수도권 및 서울 역시 주택가격 평균은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서울의 경우 일부지역내 고가 주택의 상승은 있으나 세대수가 많은 노도강 지역 주택가격이 하락하면서 평균을 낮춘 영향이 있어보입니다. 그외 지방 광역시 역시 하락하는 것으로 나와있고 부산이 -0.08%, 대구 -0.1%, 대전 -0.07%, 울산 -0.04%, 광주 -0.07% 입니다. 전국평균은 -0.06% 입니다,

    전세가격은 서울 전세가격은 0.1% 상승으로 나타났으나 조사 대상일 전주보다는 상승률이 하락하였습니다, 경기도의 경우 0.06%상승, 인천 0.08% 상승하였고 지방 광역시 기준은 울산, 대전을 제외한 대구, 울산, 광주는 모두 하락하였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2022년부터 대출금리 상승과 시세 대비 높은 분양가로 인해 신규주택 구매 수요가 줄어들면서 아파트 미분양이 급증하였습니다. 2023년 2월 기준으로는 75,438호의 미분양이 기록되었으며, 이는 역대급 미분양 수치의 절반 수준이지만, 최근 몇 년간 발생한 미분양에 근접한 수준입니다. 특히 지방이 미분양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감소세를 보이다가 다시 상승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3년 말 기준으로 대구, 경북, 경기, 충남, 강원 순으로 미분양 수치가 높게 나타났습니다. 가구 수 대비 미분양은 대구, 제주, 경북, 울산, 충남 순으로 높았으며, 준공 후 미분양은 제주, 전남, 대구, 충남, 경남 순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방 아파트 가격은 0.02% 하락하였으며, 이는 서울 아파트 값이 10주 연속 상승세를 보이는 것과 대조적입니다. 청약경쟁률 역시 지역별로 양극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지방에서는 1순위에서 청약 마감에 성공하는 아파트가 전무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지방 부동산 시장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과 신중한 접근을 요구합니다.

  • 지방은 지금 악성 미분양이 많다고 합니다

    미분양은 몇군데 분양이 안된것이지만 악성미분양은 절반이상이 분양이 안된상태라고 합니다

    빨리 경기가 회복이 됐으면 합니다

    이런상태가 오래가면 부도가 나는 건설사가 많을것이고 지역경제에도 악영향을주니 빨리 회복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