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부동산

영험한치와와99
영험한치와와99

부동산에서 채권자와 채무자의 뜻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세입자가 임대차계약 해지 조건에 해당되어서 명도소송 및 점유이전금지가처분을 하고

승소후에 강제집행하고 그 뒤에 동산 경매를 하는 과정에서

집주인이 채권자고 세입자가 채무자로 알고있는데요...

채무자는 돈을 빌려서 빚을 진 사람을 뜻하는게 아닌가요?

왜 집주인과 세입자의 관계를 채권자와 채무자로 볼수가 있는건가요?

월세를 밀려서 계약해지 당한 경우 빚을 진거라고 볼수있어서 그런건지

아니면 법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건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잘못알고있는건가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임차인이 2개월 이상 월세를 밀리는 경우에는 임대인이 계약을 해지할 수 있고 임차인이 나가지 않는 경우에는 명도소송을 할 수 있습니다. 이때 임대인은 임차인에게 월세와 관리비 등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채권)가 있으므로 채권자가 되고 임차인은 이를 갚아야할 의무가 있으므로 채무자가 되는 것입니다.

  • 채무자는 돈을 빌려서 빚을 진 사람을 뜻하는게 아닌가요?

    왜 집주인과 세입자의 관계를 채권자와 채무자로 볼수가 있는건가요?

    월세를 밀려서 계약해지 당한 경우 빚을 진거라고 볼수있어서 그런건지

    아니면 법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건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잘못알고있는건가요?


    ===> 법적인 소송을 진행하는 경우 채무자는 의무이행을 하는자, 채권자는 이러한 권리를 요구하는 자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채권 채무관계에서는 돈을 빌려주는자, 빌려 쓰는 자를 채무자로도 지칭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보통 채권자와 채무자는 돈을 빌린 사람과 빌려준 사람의 관계에서 사용되지만 임대차 계약에서는 기본적으로 임대인이 채권자이고 임차인이 채무자로 간주됩니다. 그 이유는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일정 금액을 지급해야 하는 의무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세입자는 집주인에게 돈을 지급해야 하는 의무(채무)를 지고 집주인은 그 돈을 받을 권리(채권)를 가집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세입자가 월세를 밀리고 임대차 계약이 해지되면, 집주인은 세입자에게 월세를 받을 권리가 있다는 의미에서 "채권자"가 됩니다.

    세입자는 임대차 계약에 따라 월세를 지급해야 할 의무가 있는 "채무자"로 간주됩니다.

    월세를 밀린 채무가 발생했기 때문에, 집주인이 채권자로서 세입자에 대한 권리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입자가 월세를 지불하지 않으면, 집주인은 세입자에 대해 강제집행을 통해 그 권리를 실현할 수 있는 채권자로서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영주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경매에서 성공적으로 투자하기 위해서는 채권자 확인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보다 명확한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경매에 나오는 부동산은 종종 채무자의 채무로 인해 압류 된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채권자는 해당 부동산에 대 한 권리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동산 경매에 참여하기 전, 채권자의 정보와 그들이 주장하는 권리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그럼 부동산에서 채권자와 채무자에 대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1. 채권자입니다 : 집주인은 세입 자에게 임대료를 받을 권리가 있는 사람입니다. 따라서 집주인은 세입 자와의 계약 관계에서 채권자로 간주됩니다.

    2. 채무자입니다 : 세입 자는 집주인에게 임대료를 지급해야 하는 의무가 있는 사람입니다. 즉,세입 자는 집주인 에게 돈을 지불해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에 채무자로 볼 수 있습니다.

    월세를 밀려서 계약이 해지 된 경우, 세입 자는 집주인에게 지불해야 할 임대료를 지급하지 않음으로써 채무를 이행하지 않음으로써 채무를 이행하지 않은 것이 됩니다. 채권을 가지게 되고, 세입 자는 이로 인해 채무를 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결론적으로 당신이 이해하고 있는 내용은 기본적으로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