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주택청약통장 인정금액이 25만원으로 바뀌면서... 25만원씩 못 채울바에는 차라리 미납하는 게 이득이라고 하는 분들이 있던데...
이번에 주택청약통장 인정금액이 25만원으로 바뀌면서... 25만원씩 못 채울바에는 차라리 미납하는 게 이득이라고 하는 분들이 있던데...
맞는 내용일까요?
아니면 10만원씩이라도 부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청약통장의 매월 납입금에서 미납이라는 개념은 없습니다, 납입을 안하면 그냥 횟수가 그대로인것이고 납입을 하면납입횟수가 올라가는 것입니다. 그리고 25만원씩 납입을 못하면 차라리 안내는게 낫다는건 본인들 각자의 생각이지 객관적인 사실도 아닙니다. 사실 납입금액 중 인정금액이 많을수록 청약시 당첨에 유리한 부분이 있는 것은 맞지만 그보다는 무주택기간이나 청약통장보유기간, 부양가족에 따른 가점비율이 당첨에 더 큰 영향을 주게 됩니다. 그렇다고 25만원씩 아니라도 매월 얼마씩 꾸준하게 넣으면 아애 넣지 않는사람보다는 동일기간기준 당첨가능성이 높아질수는 있는 것이기에 선택에 문제라 판단됩니다. 보통 1순위 자격요건인 24회납입정도만 해두시고 이후부터는 본인 판단하에 결정하시면 될부분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공주택 청약시 납부횟수와 저축총액에 따라서 당첨 여부가 달라지게 되므로 납입한도를 채우는 것이 당첨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연봉 7000만원 이하인 무주택세대주인 경우에는 연 300만원의 소득공제 혜택도 있습니다. 그러나 채우기 힘든 경우에는 10만원씩이라도 넣는게 미납하는 것보다는 가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민영주택을 택하신다면 납입하지 않고 있다가 한번에 납입하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25만원으로 주택청약통장 납입 인정금액이 상향되었습니다.
25만원 씩 꾸준하게 납입하시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10만원씩 납입하시는 것도 꾸준하게 납입하신다면 아예 납입하지 않는 것보다 좋습니다.
나중에 일괄 납입을 말하시는 것 같은데 현재 25만원도 꾸준하게 납입이 어려운 상황에서 나중에 미납금 일괄 납입하시는게 더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공공분양을 신청할거 같으면 매달 불입을 해서 기간까지 예치금을 채워야 청약이 가능합니다
예치금을 한꺼번에 채울수가 없어서 꼬박꼬박 넣어야 되지만 민영부분을 청약신청할때는 기간은 채우고 예치금을 못채웠다면 한꺼번에 넣어도 됩니다
계속 조금씩이라도 불입하다 상황에 맞게 신청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청약저축의 경우 가점으로 당첨을 결정을 하는 것은 주택통장가입기간, 납입횟수, 그리고 납입총액이 높을수록 점수가 높아서 당첨될 확률이 높습니다. 따라서 가점의 형태를 목표로 하신다면 납입횟수와 납입총액이 중요하니 매달 25만원을 꾸준히 넘으시는게 유리하고 또한 민간의 경우 가입2년 예치금300만원(84m2)만 있을 경우 1순위가 되므로 추첨을 하고자 한다면 가입기간2년과 예치금만 있으면 가능한 부분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