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소금은 어떻게 물에 녹는건지 궁금합니다.
물에 소금을 넣으면 그냥 두어도 시간이 지나면 녹아서 결정이 없어집니다. 어떤 원리에 의해서 소금은 녹는건가요? 그냥 두면 다시 결정으로 되돌아 오지 않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소금(NaCl, 염화나트륨)이 물에 녹는 과정은 이온결합을 가진 NaCl이 극성 용매인 물과 상호작용하면서 이루어집니다.
녹는 과정은 물에 소금을 넣으면, 물 분자들이 NaCl 결정 주위로 모여듭니다. 다음으로 물 분자들이 Na⁺ 이온과 Cl⁻ 이온 주위에 강하게 결합하면서, 이온들 사이의 결합(정전기적 인력)이 약해집니다. 결국, 물 분자들이 Na⁺과 Cl⁻ 이온을 분리해 냅니다. Na⁺ 이온은 물 분자의 산소 쪽으로 둘러싸이고, Cl⁻ 이온은 물 분자의 수소 쪽으로 둘러싸입니다. 이를 용해라 하죠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소금이 물에 녹는 이유는 소금(NaCl)이 물과 접촉할 때 물 분자의 극성에 의해 소금의 이온 결합이 끊어지기 때문입니다. 물은 극성을 띠며, 양(+) 극은 염소 음이온(Cl-)을, 음(-) 극은 나트륨 양이온(Na+)을 끌어당겨 각각의 이온으로 분리됩니다. 이 과정에서 소금은 물에 용해되어 눈에 보이지 않게 됩니다. 시간이 지나도 소금 결정으로 돌아오지 않는 이유는 물 분자들이 이온을 둘러싸고 있어 재결정을 방지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