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불빨래할때는 섬유유연제를 안써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불 빨래를 할 경우 피죤 같은 섬유유연제를 쓰면 안된다는 말을 들었는데요. 이불 빨래할때 섬유유연제는 안쓰는게 맞는건가요? 안써야 한다면 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훈훈한카멜레온115입니다.
저 같은 경우 이불 빨래를 할 때 섬유 유연제를 사용합니다
섬유유연제를 넣어주면 향도 좋지만 정전기 발생을 낮춰주거든요
겨울에 이불 덮을때 정전기가 심했는데 섬유유연제 넣고나서는 정전기가 거의 없어서 좋더라구요
안녕하세요. 조용한잠자리95입니다.
누가 이불빨래에 섬유유연제를 쓰면 안된다고 하던가요?
전 어릴때부터 10년넘게 쓰고 있는중인데 향도좋고 몸에 문제도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다정한두더지121입니다.
저는 섬유유연제는 최대한 사용을 자제하고있어요.
섬유유연제대신에 식초를 넣어서 섬유를 부드럽게하고있습니다.
냄새는 충분히 헹궈주면 식초냄새도 안납니다.
안녕하세요. 고독한기러기127입니다.
저는 이불빨래를 할때도 섬유유연제를 넣습니다.
정전기도 낮춰주고 향도 좋아져서 덮었을때 잠이 잘오더라구요.
그리고 이불이 뻣뻣해지는걸 막을수있어요.
안녕하세요. 위대한불곰165입니다.
이불빨래시 섬유유연제를 넣어주면 좋아요. 다만 유연제 사용금지 세탁물은 잘 보고 넣지 말아주세요.(극세사라든지 흰색같은 종류의 세탁물입니다.)
안녕하세요. 럭셔리한갈매기156입니다.
섬유유연제가 무조건 좋치만도 않치만요, 안뿌려줄경우 정전기가 좀 나더라구요.
그래서 이불같이 자주 빨지 않는 세틱물은 꼭 넣고 빨아 주시면 정전기 방지는 잘 되니 꼭 넣어주시고 세탁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의연한고슴도치104입니다.
일반적인 이불빨래에는 섬유유연제를 넣어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극세사 이불의 경우 극세사의 기능을 잃을 수 있으니
해당 재질의 이불만 넣지 않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화려한텐렉156입니다.
향기때문에 섬유유연제 조금만 넣습니다.
섬유유연제를 쓰면 면소재 이불은 정전기가 방지되고 이불촉감이 좋아지지만 극세사이불은 특유의 부드러운 촉감과 흡수력이 떨어지게 되기때문에 어느 이불이냐에 따라 섬유유연제 사용이 여부가 달라집니다.
안녕하세요. 오뽀로동입니다.
극세사일 경우 섬유유연제를 사용하시면 극세사의 경우 부드러운 촉감을 잃고 흡수성도 잃게 됨으로 사용을 권고하지 않습니다. 또 목화솜 이불의 경우도 사용 금지입니다.
그외에 일반 이불은 사용을 하셔도 무방하오나 구매하신 이불에 택이 달려있으시면 그곳을 통해 섬유유연제 사용 여부를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듬직한거위234입니다.
사용하셔도 괜찮으나 아마도 쓰지 않는게 좋다는 이유는 세탁후 섬유유연제가 정전기 방지를 위해 세탁물에 코팅을 입혀 습기의 흡착을 예방을 하기 때문에 이불이 온도유지의 기능도 있지만 땀 등의 흡수기능을 방해하기에 그런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날씬한낙지297입니다.사용하셔도무방합니다 너무많이는말고조금만첨가해주시면향기도좋고 좋습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신랄한멧돼지114입니다. 섬유유연제를 넣어주면 향도 좋고 정전기 줄어서 넣는게 좋습니다 저는 평소에 넣습니다
안녕하세요. 우하하하입니다. 혹시 이불이 아니고 수건을 잘 못 오해 하신게 아닐까요? 아기세탁물 같은 경우 섬유유연제를 안쓰기는 하는데... 그 외에는 거의 다 쓰고... 수건은 안쓰고 있어요.
안녕하세요. haru의 하루입니다.
재질에 따라 다르겠지만 겨울에는 정전기 때문에 넣구요. 자주 못빠니까 더 넣기도하고 정전기 잘 일어나는게 아니면 그냥 하셔도 될것같아요. 그런데 주로 레이온이나 카페트류가,정전기 많이 나더라구요
안녕하세요. 사려깊은멧토끼183입니다.
식초를 조금 넣어보세요 식초 냄새가 조금 나지만 말리는 과정에서 다 날라가고 정전기가 훨씬 덜 하더라구요 유연제 처럼 향기는 없지만요
안녕하세요. 똑똑한 춘식이입니다.
일반적으로 담요를 세탁할 때 섬유 유연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담요가 양모나 면과 같은 천연 섬유로 만들어진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섬유 유연제는 담요의 섬유를 코팅하여 부드럽고 편안함보다는 뻣뻣하고 딱딱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담요의 흡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샤워 후 담요를 따뜻하게 유지하거나 건조하게 유지하는 경우 특히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섬유유연제는 담요가 본래의 따뜻함과 보온성을 잃게 하여 보온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섬유 유연제는 또한 먼지와 흙을 끌어당기는 담요에 잔류물을 남길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담요가 더 빨리 더러워질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천리길도 한걸음부터입니다.
이불은 피부에 접촉하기에 정전기 방지를 위해 섬유유연제를 사용하는게 좋은거 같습니다. 참고로 2주에 한번, 최소 1달에 1번 주기적으로 이불빨래 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도도한말똥구리261입니다.
흰색 이불에는 변색의 우려로 사용하지 말라는 글블이 있지만 정전기 감당될까요?저도 흰 이불 지금 세탁중인데 유연제 사용합니다.천년만년 쓸것도 아니니까요
안녕하세요. 든든한키위124입니다.
저는섬유유연제 사용합니다.
향도좋고 전정기 발생도 줄이고이불자체도 부드러워져서요
안녕하세요. 점잖은허스키118입니다.
일반 이불은 섬유 유연제는 넣으면 보드롭고 항기가좋아 사용 하셔야 합니다.다만 극세사 비추요
안녕하세요. 효도르입니다.
정전기 예방보다도 굳이 불필요하다면넣치 마세요.
제가 빨래할때는 아예 안넣어요..
무취가 더 좋아요..
정전기 생겨도 한순간입니다.
향기난다고 좋은것 못느깁니다..
안녕하세요. 영험한부엉이92입니다.섬유유연제가 피부에 않좋아서 피부가 약한사람은 가려울수도 있다고해서 저는 식초를 유연제대신 소량넣는데요 냄새도 날라가고 정전기도 방지해지고 살균작용도 한다고합니다
안녕하세요. 색다른쌍봉낙타115입니다.섬유유연제를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단지 섬유유연제를 사용하는 것은 정전기 방지 및 향을 위해서인데요
평소 이불의 감촉을 좋아하시는 분이라면 말그대로 섬유가 유연해지면서 감촉이 달라질 순 있네요
안녕하세요. 얌전한악어231입니다.
어느종류의 이불이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극세사 이불같은경우는 특유의 촉감을 잃어버릴수 잇기때문에 권유해드리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다른이불은 소량만 넣으셔도 무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