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한 경쟁이 어떤 뜻인지 궁금합니다.
채용공고를 보면 제한 경쟁,공개 경쟁 이라는 문구가 자주 나오는데
정확한 의미를 몰라 문의드립니다.
제한 경쟁,공개 경쟁의 뜻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귀하의 질문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합니다.
제한 경쟁은 일정한 자격조건, 지역, 학력 등으로 제한하는 경우이고, 공개 경쟁은 이와 같은 제한이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제한 경쟁이란 특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에 한하여 절차에 참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격 관계없이 참가가 가능한 일반경쟁 내지 공개경쟁과 구분됩니다
안녕하세요. 강희곤 노무사입니다.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달리 쓰이겠지만
제한 경쟁이라는 것은 일정한 자격 조건을 두고 그 조건에 맞는 구직자들끼리만 경쟁한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일반적으로 채용에서 말하는 제한경쟁과 공개경쟁은 지원 자격의 범위 차이를 뜻합니다. 제한경쟁은 특정 자격, 지역, 계층 등에 한정하여 응시할 수 있는 방식이며, 예를 들어 장애인, 지역인재, 고졸자 등에 한정할 수 있습니다. 반면 공개경쟁은 자격요건만 충족하면 누구나 응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한 없이 광범위한 인재 모집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공고를 확인하실 때 제한경쟁이면 반드시 응시 자격 조건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제한 경쟁은 말 그대로 일정 요건을 충족한 자(예: 특정지역에 거주하는 자만을 채용대상으로 정한 경우)를 대상으로 채용하는 것을 말하며, 공개 경쟁은 특정 자격없이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채용하는 것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