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정거리는 말투는, 아이들이 어디서 학습하는걸까요?
부모나 주변 사람이 그런 말투를 쓰는 경우가 없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빈정대고 마음 상하게 하는 어법들은, 미디어나 이런 곳에서 노출이 되어서 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빈정 거리는 말투, 안 좋은 단어를 사용하는 태도는
주위 어른의 대화로 통해서, 미디어를 통해서, 부모의 대화로 통해서, 친구와 언어적 소통을 하면서 보여지게 됩니다.
아이가 빈정 거리는 말투와 안 좋은 단어를 사용 했다면
그 즉시 단호함으로 지금 사용한 언어를 옳지 않음을 전달하고 왜 지금 사용한 언어의 사용이 옳지 않았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집에서 사용안한다면 미디어의경우가 클수있고 아이가 부모가 아닌 다른곳에서 활동하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학교 등에서 배울겁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대부분 아이들의 빈정거리는 말투, 말대꾸, 시비 거는 어투 들은 유튜브나 만화에서 캐릭터들간의 대화를 보고 배우며 흡수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런 말을 하는 친구들을 보고 자연스럽게 모방 학습을 하게 되죠.
기분 나쁜 말투들은 상대방이 상처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알려주고, 대체하는 표현들을 알려주세요.
왠만하면 부모님이 콘텐츠를 함께 보면서 조절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이들이 빈정거리는 말투를 사용하는 이유는 대부분 미디어와 또래 관계에서 비롯됩니다.
집에서는 그런 말을 듣지 않았더라도, 유튜브나 애니메이션, 게임 영상 속에서 자주 접하게 되면 재미있거나 멋있어 보여 따라 하게 되는데 또래 아이들 사이에서 빈정거림은 장난처럼 쓰이거나 관심을 끄는 방식으로 퍼지기도 하죠.
그리고, 감정을 말로 잘 표현하지 못할 때, 간접적으로 감정을 드러내기 위해 그런 말투를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모는 아이가 그런 표현을 사용할 때, 그 말이 상처가 된다는 점을 부드럽게 알려주고,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하는 다른 말들을 알려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빈정거리는 말투나 마음을 상하게 할 수 있는 어투를 사용하는 것은 단순히 부모나 가족의 언어 습관에만 기인하지 않습니다. 나쁜 것은 스펀지처럼 흡수하기도 합니다.
가정에서 그런 언어를 접하지 않더라도 아이들은 또래 친구들과의 상호작용(학교, 학원), 미디어(예능, 드라마, 유튜브 등)나 인터넷 콘텐츠, 사회 전반의 다양한 환경을 통해 간접적으로 언어적 표현을 습득하게 됩니다.
특히 미디어에서의 대화 방식, 반어와 풍자, 유머 코드가 반복적으로 노출될 경우 이를 무심코 모방하게 되며 또래 그룹에서는 이러한 말투가 일종의 장난이나 유대감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아이들은 말의 문자적 의미 이상으로 의도와 뉘앙스를 파악하고 때론 의도치 않게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는 표현을 익히기도 합니다.
그런 표현을 사용할 때 대체할만한 예쁘고 긍정적인 언어를 말해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맞습니다. 아이들이 빈정거리는 말투를 배우는 주요 경로는 미디어, 친구 관계, 그리고 온라인 환경입니다. 부모나 가족이 사용하지 않더라도 유튜브, 예능, 애니메이션, 게임 스트리머 등에서 자극적이고 비꼬는 어투가 자주 노출되고, 또래 사이에서 유행어처럼 퍼지기도 합니다. 특히 아이들은 말투 뿐 아니라 그 말이 상대에게 어떤 반응을 유도하는지를 관찰하며 흥미를 느낄 수 있어 무의식적으로 따라하게 됩니다
아이의 빈정거리는 말투 어디에서 학습한걸까요?
아이의 말과 행동의 영향을 받는 데에는 여러가지 경로가 있겠습니다.
미디어 콘텐츠, 또래 친구들, 사회적 모델링(부모 외에도 선생님, 유튜버, 캐릭터 등)을 통해서 할습을 할 수도 있겠습니다.
따라하는 이유는
재미와 반응 유도, 감정 표현 방식 미숙, 언어 실험기 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이들이 말투나 여러 언어를 학습하는 경로는 다양합니다. 또래 친구나 가족, 소셜 미디어, 혹은 TV나 스마트폰 등의 대화나 매체를 통해서 학습하기도 합니다. 직접적으로 보고 배워서 따라하기도 하지만, 반대로 간접적으로 익히기도 하므로 그러한 언어를 배운 경로만큼이나 바람직하지 않은 언어 사용임을 안내하고 바른 언어를 사용하도록 교정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