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가격이 10억 넘는 게 많이 오르는 건가요?
몇년전 에 아파트 한채 가격이 몇억 이였을때는 가격이 많이 올랐지만 아파트 가격이 한채에 10억이 넘는 아파트가 몇배이상으로 오를수가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10억 넘는 아파트가 몇배씩은 오르지 않습니다
재건축이나 재개발이 되서 새아파트로 바뀌면 그래도 가격이 많이 오르는 편입니다
주변시세보다 새아파트는 많이 오를수는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10년전 아파트가 2~3억 정도 하던 것들이 최고점 10억을 찍는 일이 있었습니다.
10년전 2~3억 할때 과연 10억을 예상을 했을까요?
산술적으로 부동산 상승기라면 10억이 100억 될 수도 있습니다.
지금 분양가가 5천만원 정도 합니다. 지금막 20억씩 합니다.
산술적으로 10년 후 100억 될수도 있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단 우리나라의 주택가격은 다른나라에 비해 저렴한 편입니다. 소득대비 주택가격비율(PIR)을 살펴보아도 그렇고 6년전도 전만해도 다른 물가지수에 비해 주택가격은 낮은 편이었으며 2020년을 기점으로 어느정도 맞춰졌습니다. 현재도 서울과 수도권으로 인구쏠림현상과 1~2인가구의 증가로 인해 수요가 많아져 점점 가격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격이 오를수록 오르는 %는 줄어들겠지만 객단가가 크니 오르는 절대 금액은 더 클 수 있습니다.
1억 짜리 집이 100%(2배) 오르면 1억 오른것이지만 10억짜리 집이 10%만 올라도 1억이 오른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증여금액도 5000미만이라서 문제없을 것 같기는 한데, 보통 자금조달계획서 내고 청약자 뿐 아니라 청약자가 소속된 사업체 전체적으로 세무조사 받은 경우도 있다고 해서 궁금해서 그냥 한번 여쭤보면~! 듣기로 아파트 청약을 하면 자금조달계획서 제출을 청약당첨되고 계약당시에 제출하게되어있고, 그러면 이게 국세청으로 넘어가서 보게되는 구조로 알고있는데, 그러면 만약에 뭔가 제출한 계획서상에 문제가 있다면 자금조달계획서를 보고서 세무조사가 나오는 개념인가요? 아니면 그 자금조달계획서를 참고하고 있다가 몇년후 실제 취득할 당시 취득세 낼때즈음에 나오게 되는 구조일까요~?
==>자금조달계획서를 관할 관청에 제출하고 국세청에서 관련 내용을 모니터링을 한 후 증여 등의 의심이 되면 조사를 진행하는 순으로 진행됩니다.
보통 6억 미만이면 자금조달계획서 자체도 제출을 안 하는 곳도 있다는데, 사실상 이렇게 자금조달계획서 자체도 제출을 안 하는 지역에서 청약을 진행한다면 ,이런 곳들은 비교적 어린 나이인 30살 정도되는 사람이 5억8천만원정도의 분양가로 아파트 취득을 하더라도 크게 조사나오거나 문제될 일은 거의 없다고 봐도 될까요? 실제로도 문제될 거는 전혀 없지만 괜히 제가 나이가 어리기에 청약함으로 인해서 어머니 사업체까지 조사받고 하실까바 번거로워질까바 걱정이 되네요! 자금조달계획서 자체도 안 내는 지역이라면 솔직히 거의 뭔가 조사가 나올 확률은 거의 0이라 봐도 될까요~?
==> 거래금액을 고려할 때 부족한 자금을 은행 대출로 실행하는 경우 세무조사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상식적으로 맞지 않습니다만
가격은 상식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영역입니다.
실수요자가 많은 지역은 10억이고 20억이고 현금주고 살 사람은 많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