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갭투자 리스크가 현실화될까요?
아파트 전세가와 매매가격이 하락하는 상황입니다. 특히 전세보증금을 활용한 갭투자의 리스크가 하반기에 현실화될 거라는 우려가 있는데 가능성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서주환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가격도 많이 하락 했지만 전세 보증금또한 하락한 상태 입니다.
앞으로 우리나라 부동산 경기가 올 하반기까지는 보합 혹은 하락 한다고 추정 되고 있으며
내년정도 어느정도 회복세로 돌아 설 예정으로 추정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너무 과한 갭투자는 앞으로 2년까지는 많은 비용과 부담이 될수 있습니다.
이는 전적으로 저의 개인적 생각이기에 참고만 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현 상황에서도 빌라와 같이 시세와 전세보증금 차이가 크지 않았던 빌라등에서는 깡통전세가 발생되어 리스크가 발생되고 있습니다. 아파트와 같이 갭차이가 있는 주택들도 전세가격, 주택가격 하락에 따라 보증금 미반환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고, 이는 정부자금으로 운영중인 전세보증보험의 보험료 지급을 가중시키고 주거불안정을 야기하므로써 그 위험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만약 하반기까지 추가적인 가격하락이 있을 경우 갭투자의 리스크는 매우 확대될수 잇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갭투자는 매매가격 = 임차인전세보증금 + 나머지 잔금을 뜻하는 것입니다. 나머지 잔금이 갭이라는 것이죠..
이미 전세가격이 매우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미 전세가율이 높을때 갭투자하신분들이 세입자분들에게 돈을 내어주지 못하는 상황이 엄청나게 발생하고 있고 임대인이 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을 낮춰주거나 내어줄돈이 없으니 이자명목으로 매달 역월세를 지급하는 일까지 생긴상황입니다. 올하반기가 되면 더심각해질것이라 개인적으로 판단됩니다.
안녕하세요. 주영민 공인중개사입니다.
제가 보기엔 여기에 있는 어느누구도 미래를 알수 없습니다.
미국 기준금리 흐름도 모든 전문가가 예측 못하고있습니다.
실제보다 사람들의 심리는 더 위축되면 순식간에 이번처럼 부동산 시장이 녹습니다.
확실한 건 모두가 공포에 떨때가 기회라 생각합니다.
포용가능한 경제 여건 하에서 진행하시면 좋을것이라 판단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갭투자했던 리스크는 지금도 발생하고 있습니다. 전세금을 당장 돌려줄 상황이 안되는 분들도 여럿 계시고 전세금을 낮춰서라도 세입자를 빼주고 나머지 차액을 지불해주는 경우도 비일비재 합니다. 모든지역이 그런것은 아니겠지만 하반기가 아닌 이번 상반기부터 계속해서 보이기는 합니다.
이사시즌때 혹은 이동하는 물량이 많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전세하락의 분위기가 팽배하다보니 이러한 문제를 주변에서 들을 수 있었습니다.
하반기에 거래 혹은 이사를 더이상 미룰 수 없을 경우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거래가 터지면서 이와같은 상황이 더 발생될 수 있기에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1. 질문요지 : 아파트 전세가와 매매가격이 하락하는 상황입니다. 특히 전세보증금을 활용한 갭투자의 리스크가 하반기에 현실화될 거라는 우려가 있는데 가능성이 있을까요?
2. 답변내용
가. 현재 부동산 시장이 하방기에 있는 만큼 전세가격, 매매가격아 하락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이러한 경우 임대인의 입장에서 부족한 금액을 보충할 수 있는 여력이 되지 않는다면 갭투자에 대한 리스크가 현실적으로 발생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아무래도 현실화 될 가능성이 높은데 아파트 보다는 빌라쪽에서 문제가 불거질 가능성이 많습니다.
특히 올해 공시가격이 많이 하락하고 보증보험 가입도 기존 공시가의 150%에서 126%로 줄어들면서 하반기로 갈수록 문제가 커질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병윤 공인중개사입니다.
갭투자 리스크는 결국 투자했던 원금이 부동산 가치 하락에 따라 줄어들었던지 원금전체가 깍이고 마이너스로 돌아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국 깡통전세가 된다는 의미이고, 전세계약 갱신주기가 돌아올때 임대인들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