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을때 우측 정강이와 발등 종아리 부분이 저려요.
평소 운동을 스트레칭 기반으로 많이 하여 몸의 문제가 전혀 없다고 생각하는데 가끔 저녁에 천길을 따라 걸을때 우측 하지부부분이 저림증상을 느낍니다.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 저림이 30분 이상 지속되다가 사라지고 하는데 신경외과 정밀검사가 필요할지 궁금합니다. 혹시 아니라면 어떻게 관리하는게 좋을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명훈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다리 저림, 감각이상, 통증 등과 같은 증상은 허리 디스크 탈출로 인한 신경 눌림 또는 탈출한 수핵이 신경뿌리에 염증을 일으켜서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는 움직이면 통증이 발생하기 때문에 통증 발생을 줄이고자 척추 주변의 근육이 뭉쳐서 근육통과 같이 허리 통증이 동반될수 있습니다. 또는 허리 주변 근육 자체의 문제이거나 인대, 힘줄 손상으로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하지 정맥류가 있다면 많은 활동 이후에 다리에 저린감, 터질듯한 느낌을 받을수 있습니다.
전문의의 진료 후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심하지 않다면 손상받은 신경 주변에 주사 치료를 통해 염증을 가라앉히고 물리치료 및 도수 치료, 체외 충격파 등을 시행하여 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MRI검사가 필요할수도 있습니다.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질문자님의 증상은 척추 질환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증상일 수도 있지만 단순히 하지의 문제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신경외과에서는 척추 질환에 대해서만 평가 및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우선은 허리 및 다리 쪽 모두 평가가 가능한 정형외과에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좌골신경통이 의심됩니다.
-좌골신경통은 허리나 엉덩이에서 시작하여 다리로 뻗치 듯이 아픈 것을 이릅니다.
원인
-좌골신경통의 90%이상이 허리추간판탈출증(허리디스크)으로 추간판이 신경뿌리를 눌러서 발생하게 되며, 허리척추 4번째 및 5번째 사이 혹은 허리척추 5번째 및 엉치척추 1번째 사이에 자주 생깁니다.
통증
-좌골신경이 지배 부위에 통증이 불생합니다. 엉덩이나 허벅지 바깥쪽에서 시작해서 종아리 바깥쪽과 뒤쪽에 통증이 나타납니다. 저린 증상과 전기 오듯 찌릿한 증상이 자주 나타납니다.
치료
-비수술적 치료 : 통증 자체를 경감시키기 위한 약제 복용,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사 등의 약물치료나 신경뿌리의 압박을 경감시키는 침상 안정, 견인 치료 등을 시행합니다.
-수술적 치료 : 탈출된 추간판 조각을 제거하거나 신경뿌리가 나오는 척수사이구멍의 협착을 없애 좌골신경통과 그와연관된 신경학적 장애의 개선을 목적으로 합니다. 보통 척추후궁절제술, 척추유합술 등을 시행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우측 하지 단측의 피부면을 따라 저린 증상이 있다면 증상으로 진단 할 수는 없지만 허리 디스크의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오른쪽 다리로 내려가는 신경이 디스크 또는 협착증에 의해 압박이되면 해당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허리부터 따라서 증상이 있으신가요?
신경외과/정형외과 가셔서 진료 보십시오
힘드시면 증상 조절위해 약(진통제, 근이완제)을 받거나, 아니면 찜질 같은 것을 해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진료보시고 mri 필요여부 확인해보세요.
시술이나 수술이 필요로 치료를 해야되는 경우가 분명 있습니다.
작성하신 글에서는 정보가 많이 부족합니다.
길게 설명드리기는 어려운 부분이라서 이 정도로 마치겠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주경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ㅎㅈㅈㅁ@하지정맥류
하지정맥류의 가능성이 있으니 병원에 내원해서 진단을 받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정맥류의 원인은 나이가 증가하면 정맥의 탄력이 감소하고 정맥내의 판막이 약해지게 되어 혈액이 심장으로 돌아가는 일이 어려워집니다.
즉 혈액의 역류가 발생합니다.
그 결과 정맥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정맥이 확장되어 정맥류가 발생합니다.
하지정맥류에 걸리면 여러 가지 증상들이 오게 됩니다.
초기 단계에는 검붉은색의 핏줄만 보이지만 혈액 정체가 많아 혈관이 4mm이상으로 늘어나면 푸른색의 핏줄이 다리에 튀어 나오는 상태가 됩니다.
그러다가 부종이 심해서 양다리의 굵기가 달라지고 종아리 앞쪽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피부가 들어가 원상복귀 되는데 시간이 걸리는 심갓한 부종 상태가 됩니다.
치료는 주사강화요법, 복제정맥 고위결찰술 및 스트리핑 정맥류 절재술, 레이저 또는 고주파치료가 있습니다.
1. 주사강화요법: 경화제를 정맥내에 주사하여 정맥의 내막과 내막하층을 화학적으로 변성시켜 혈전 생성을 유도함으로써 늘어난 정맥이 막히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2. 복제정맥 고위결찰술: 복제정맥을 고위결찰을 시행한 후 스트리핑을 시행, 정맥을 제거한 후 돌출된 정맥을 절제하는 방법입니다.
3. 레이저 또는 고주파 치료: 레이저나 고주파를 이용하여 복제정맥을 폐색 시키는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확답하긴 힘들지만 하지정맥류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정맥류의 원인은 다리 피부의 정맥이 꼬불꼬불 비틀리면서 늘어나는 질환입니다.
혈액을 다리에서 심장으로 보내는 정맥내의 판막에 문제가 생겨서 나타납니다.
판막은 아래쪽에서 올라오는 혈액이 다시 내려가지 못하게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판막에 문제가 생길 시 역류되는 혈관과 올라오는 혈액이 만나 소용돌이를 일으키고 그 압력으로 인해 정맥이 부풀게 됩니다.
하지정맥류의 증상에는 다음의 것들이 있습니다.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붓는데 혈관이 튀어 나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복사뼈 주변 피부에 잘 낫지 않는 궤양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그리고 혈액 자체의 농도가 짙어져 검게 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정맥류의 치료 목적은 증상을 완화시키고 병의 진행을 막으며 확장된 정맥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보존적 치료와 적극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를 위해서는 생활습관을 교정하고 낮시간 동안 압박스타킹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속적으로 표재정맥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막기 위함입니다.)
오랜시간 앉아 있거나 서 있는 것을 피하고 휴식시 다리를 심장에 가까운 높이로 올려줍니다.
최근에는 피부를 절개하지 않고 고주파나 레이저를 이용해 원인 혈관의 경화를 유도하여 역류를 차단하는 방법이 선호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저리는 증상은 주로 신경이 눌릴때 나타납니다. 다리쪽으로 저리다면 허리에서 신경이 눌릴가능성이 높습니다. 척추 디스크 질환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 것이지요. 신경외과나 정형외과에가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