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관리지역과 공업지역은 어떻게 다를까요?
안녕하세요? 생산관리지역과 공업지역이 있잖아요~ 생산관리지역도 공업지역과 같을거 같은데 이 둘은 어떻게 서로 다른지역인건가요?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관리지역은 도시지역에 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거나 농림지역에 준하여 관리가 필요한 지역을 관리지역이라고 하는데, 그중에도 생산관리지역은 농림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기가 곤란한 지역을 말합니다.
반면 공업지역은 각종 공업을 수용하기 위한 지역으로서 전용공업지역, 일반공업지역, 준공업지역 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생산관리지역은 농업, 임업, 어업 등의 생산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지정된 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농업과 관련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고, 공업지역은 산업 활동을 위해 개발된 지역으로, 제조업, 조립업, 유통업 등 다양한 산업 관련 시설이 들어설 수 있는 곳입니다. 각 지역의 특성에 따라 건축 및 개발이 제한되고 규제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생산관리지역과 공업지역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해 구분되는 지역으로, 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생산관리지역은 농업·임업·어업 생산 등을 위하여 관리가 필요하나, 주변 용도지역과의 관계 등을 고려할 때 농림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기가 곤란한 지역을 말합니다. 건폐율은 20% 이하, 용적률은 50% - 80% 이하로 제한됩니다. 단독주택 및 저층의 공동주택, 근린생활시설, 종교시설, 기타 매출 목적의 건축물이 주로 해당되며, 농수산물 및 레저 시설, 공업, 광업, 수자원 관리 시설 등 생산 시설 중 일부를 건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유흥이나 사행성 시설, 식당, 숙박업소, 위락시설은 지을 수 없으며, 주차장 및 캠핑장 시설도 주의가 요구됩니다.
공업지역은 공업의 편익을 증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을 말합니다. 전용공업지역, 일반공업지역, 준공업지역으로 세분화됩니다.
각 지역별로 건폐율과 용적률이 다르며, 허용되는 건축물의 종류도 다릅니다. 공업지역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교통이 편리하고, 산업 인프라가 잘 구축된 지역에 지정됩니다. 이와 같이 생산관리지역과 공업지역은 각각의 목적과 특성에 따라 구분되며, 건축물의 용도, 건폐율, 용적률 등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용도지역에 따른 구분상 공업지역과 생산관리지역은 다릅니다. 대분류상 공업지역은 도시지역에 속하고, 생산관리지역은 관리지역에 속하게 되어 구분상 차이가 있고, 그에따라 제한된 용적률과 건폐율에서도 차이가 있고, 건축제한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생산관리지역은 농업, 임업, 어업생산등을 위하여 관리가 필요하나 주변 용도지역과의 관계를 고려할떄 농림지역으로 지정하기 관리하기 곤란한 지역으로 사실상 도시지역내 공업지역으로 편입될 가능성은 높은 지역은 계획관리지역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국토를 크게 용도별로 구분하는데 관리지역ㆍ도시지역ㆍ농림지역ㆍ자연환경보존지역으로 구분합니다
이 중 관리지역은 다시 계획관리지역ㆍ생산관리지역ㆍ보전관리지역 으로 구분합니다
생산관리지역은 주변용도와 비교할 때 농림지역으로 분류하기 애매한 지역을 새로이 분류한 지역으로 건폐율은 20%와 용적율은 80%이하입니다
그리고 공업지역은 도시지역에서 세분화된 지역으로 공업 생산지역이라고 이해하시기 바랍니다
일반공업지역 준고업지역 등으로구분하는데 건폐율은 70%이하이지만 용적율은죄소 150-400%이하로 규정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