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월세아끼기, 현실적인 방법이 있을지?
사회 초년생으로 월세를 내다보니 이게 매달 생활비가 빠듯하더라고요. 나름대로 절약을 한다고해서 식비도 좀 줄여도 보고 플렉스해보려던 것도 참았는데 돈이 잘 모이지 않더라고요 .월세를 아끼거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 있을까요? 집을 옮기지 않고도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팁이 있다면 알고 싶습니다.예를 들어, 집주인과 협상해서 월세를 조금 낮출 수 있는지, 협상할 때 어떤 점을 강조해야 하는지도 궁금해요. 또, 공과금을 절약하는 방법이나, 집에서 에너지를 덜 쓰는 습관이 월세 생활에 도움이 되는지도 알고 싶어요.그리고 룸메이트를 구해서 월세를 나누는 게 좋은 방법일 수 있는지도 고민 중이에요. 룸메이트를 구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이나, 함께 사는 규칙을 정하는 팁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월세 지원 제도나 혜택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월세의 경우 본인이 절약을 하고 싶어도 결국은 상대방 동의 없이는 절감이 안되는 고정비용이기 떄문에 다른 저렴한 곳으로 이사를 가지 않는이상 어쩔수 없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계약기간내 월세인하를 아무런 이유없이 수용하는 임대인이 있을리 없고, 아무리 협상을 잘하는 사람도 이러한 부분에 합의를 이끌기는 쉽지 않습니다. 쉽게 임대인이 개인 사정이 어려워져서 기간중에 월세를 좀 높여받으려고 한다면 본인이 이를 수용할지를 생각해보시면 됩니다.
다만 관리비의 경우는 본인 사용량에 따라 일정부분 아낄수 있기에 집안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절약하는 생활을 하신다면 절감은 가능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룸메이트를 구하는 문제는 방법이 될수는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전대차로써 보여질수도 있기에 때문에 임대인의 판단에 따라서는 계약해지요구등의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본인 임대차계약시 특약등에 단독거주등의 대한 내용이 명시되어 있는 지를 살펴보셔야 하고, 그런게 없는 경우 타인보다는 지인으로 구해서 임시동거를 하시는게 맞을 듯 합니다. 혹시라도 임대인이 이를 알고 문제를 제기하면 그때는 동거를 하기 어려울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다른 부분보다 조건이 된다면 정부의 월세지원받기를 한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정부 지원 혜택 확인하기
, 청년 월세 지원 제도 (지자체 및 국토부)
국토부 청년 월세 특별지원: 최대 월 20만 원씩 12개월 지원
지방자치단체 월세 지원: 서울시, 경기, 인천 등 별도 프로그램 있음
복지로 또는 내일잡넷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신청 조건
연령: 만 19세~34세
소득 요건 충족 (중위소득 기준 이하)
본인 명의의 임대차 계약서 필요합니다
또 중소기업대출로 전세로 전환해보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러면 월세보다 이자가 저렴해서 유리한 면이 있습니다
여러가지 방법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월세 협상 할 때 유리한 상황을 만들어야 좋습니다.
예를 들어 임대인이 급한 사정으로 임차인을 빨리 구해야 할 때 임차인으로써 여유를 가지고 약간 네고를 하주면 바로 계약을 하겠다고 하면 성공 확률이 높습니다.
본인의 입장보다 급한 상대방을 찾아 계약을 유리하게 이끌어 가는 것 가장 좋은 협상 방법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사회 초년생으로서 월세부담을 줄여서 자금을 모으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먼저 월세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집주인과의 협상이 필요합니다. 계약만료 전 2-3개월 전에 미리 연락해 갱신 의사는 잇지만 월세조정을 협의해보세요. 관리 잘된 방 안의 상태와, 장기거주의사, 성실한 그간의 납부내역을 통해 조금이라도 월세를 줄여보는 것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전기세, 가스비를 절약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사용하지 않는 대기전력은 멀티탭을 이용하거나 플러그를 뽑아 차단하는 것이 좋고요. 가스비는 창문에 뽁뽁이를 달아 빠져나가는 열을 차단하면,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룸메이트를 구하는 것도 확실하게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인데요. 이럴 경우는 생활패턴이 잘 맞아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두 사람이 청결도 수준이 어느정도 맞아야 함께 살수 있다는 것입니다.
월세지원 제도로는 19-34세의 중위소득 60% 이하의 청년에게 지원이 가능한데요. 월 최대 20만원까지 지원이 가능하니, 해당 거주지역의 행정복지센터에 문의하시면 좋겠습니다.
또는 월세를 살다가 전세로 전환할 경우 이자일부지원이 가능한 제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청년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같은 것이지요. 그래서 그런 부분을 이용하여 대출이자 시세보다 저렴하게 전세로 사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