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의료 보험

심각한북극곰101
심각한북극곰101

시각장애가아닌데도 보험코드로 뜨는건왜그럴까요?

남편이작년에 눈이침침해서 안과가서 진료한번봤는데

아무이상없었거든요 그런데보험가입하려하니 시각장애코드가뜬다면서 자꾸소견서제출하라는거에요

의사에게직접물어보니아무것도 안넣었다고하는데

왜자꾸이렇게나오는지모르겠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탁월한멧토끼167
      탁월한멧토끼167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강샛별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보험사에서는 보상청구 이력이 있다면 진단명이 표시가 됩니다 보상청구 한적이 없다면 해당 보험사에 전화 하셔서 왜이런 코드가 뜬건지 요청 하시면 알려 주실겁니다 혹시 작년에 안과진료 받으신거 실비처리 하셨나요? 실비처리로 인해 진단코드가 뜨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험사에 대응하시면 진료받았던 안과에 초진기록지나 진료확인서 제출 하라고 하실겁니다 그진료내역 바탕으로 승인 여부가 결정될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조대근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소견서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시각장애 글쎄요. 녹내장이나 포도막염 황반변성 이런 종류의 것이 의심 소견일 때 약간 심각하게 볼 수 있습니다. 5년이내의 의료행위는 고지사항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추승희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의사소견서에 아무것도 아니었다고 소견서 받아서 제출하면

      심사 통과될 겁니다.

      진료 당시 의사선생님이 진료코드 기입할때 임의로 올리는

      때가 있어서 환자분이 알고있는 질병내용과 의료공단에

      올라있는 코드가 상이한 경우가 간혹 발생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정금련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안과질환 이상없으시면 소견서 받아서 가입하시는게 나중에 보상받으시는데 좋구요 요즘은 전산에서 병원간것으로 보상받으시거나 하시면 가입시 뜨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갓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진료 코드를 받은것이 맞습니다. 그리고 보험금 청구를

      하셨을테니 당연히 진료받은 코드대로 정상적으로 청구

      되셨을테구요~ 보험회사에서는 병원에서 받은 코드대로

      보험금 지급을 하기 때문에 전혀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그렇게 청구 하시고 다른 보험을 가입하려면

      이전에 청구이력은 조회가 되기때문에 보험사에서 소견서나 서류를 요구 할 수 있습니다.

      정말 남편분이 이상없다면 재진후 서류 제출을 하셔서 보험가입을 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정구철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혹시, 보험금을 청구하신건 아니신가요?

      보험금을 청구할 경우 보험사간 병원치료 이력이 공유 됩니다.(보험사고정보시스템 ICPS-Insurance Claims Poolong System)

      실비보험을 청구했을 경우 100% 전보험사에 알수가 있습니다.

      보험금 청구 내역이 5년이 지나면 안뜨기 때문에 괜찮지만 그 전의 보험금청구 내역은 반드시 뜨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보험가입에 어려움이 있으실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이준식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예측컨데 작년 안과 방문 후 실손의료비 청구시 코드 입력이 잘 못 기재되었을 수 있습니다.

      소견서 비용이 기만원 할 수 있으므로 먼저 초진차트 사본으로 대체해보시면 혹시 나 저렴하게 해결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정성일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메리츠화재 정성일지점장입니다~

      급여인 공단적용을 받았기 때문에 질병코드를 넣고 검사를 했을꺼에요~

      공단적용을 받기위해서 그렇게 하는거에요~

      아무이상이 없다면 필요서류 제출하시면 심사 통과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전진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무래도 그당시 안과청구이력이 남아서 그런듯 합니다!

      그병원에서 땐 서류를 다시 한번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의사가 개개인의 코드를 다 기억할 수 없는 노릇이고

      서류를 때서 어떤 코드를 넣어두었는지 확인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이찬희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무런질병코드가 없다면 담당의사에게 검사소견서를

      발급 받아 제출하면 정상적으로 보험가입 가능합니다

      이럴때는 다이렉트같은 정형화된 가입보다는

      담당 보험설계사를 찾아서 가입하는편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김미선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진찰 받으신 후 보험금 청구로 인하여서 보험사에 병력이 뜬 것 같은데, 아무 이상이 없으시다면 소견서 제출 하시는거 좋구요. 굳이 그 보험사 아니더라도 다른 보험사도 심사 올려 보세요. 보험사는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조정기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문자님 병원에서 진료받았을때의 기록을 모두 달라고 하세요. 과잉진료일수도 있습니다. 시각장애 코드가 뜬다는 것은 의사가 코드를 넣었기 때문입니다. 절대로 그냥 뜰수는 없습니다. 가끔 의료보험 청구를 위해 내원한 환자들의 질병코드를 높게 잡고 의료보험공단에 청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 모르고 계시지요. 그런데 보험을 가입할때 나타나게 됩니다. 당시 의료 기록과 진단서를 모두 떼 보시면 그안에 의사가 입력한 코드가 있을 것입니다. 그럴때는 과잉진료이기때문에 법적으로 대응하시는 것도 가능할 것입니다(이부분은 변호사에게 문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 속담에 아니뗀 굴뚝에서 연기가 나는 법이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의사가 코드를 넣지 않으면 절대로 코드가 뜰수 없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박선우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보험가입시 보험사에서 요구하는 서류를 제출하시면

      가입가능하십니다. 안과 치료시 의심질환을 받으신것같아요! 보험사는 엄살이 심한편입니다.

      참고로 시각장애판단은 보험사가 내리는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