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조하조하용
조하조하용

460일 아기 취침이후 자주 깨는증상 해결방법

460일 아기 아빠입니다. 오후 8시~8시30분 사이에 애기가 자러들어가는데

최근에 오후 11시까지 3번정도 잠에서 깨더라구요.

그리고 새벽에도 깨려고하고 침대위를 뒹글뒹글거리다가 깨는거 같긴한데.

이 주차에 원래 이런건지 아니면 뭔가 조취를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15개월~16개월차쯤 되는군요.이 시기의 아이들은 걷는 것도 좀 자유로워지고 해서 신체적으로 움직임이 많은 시기입니다.낮 활동에 신체적인 활동을 많이 해주시면 좀 깊은 잠을 잘것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유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주변환경이 변한건 없는지 확인해보시고 철분이 부족하게 섭취되는지 확인해주세요

    다독여주면서 다시 재워주시는게 좋습니다 아이도 통잠을 자지 못하게 돼면 성장에도 좋지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는 자다가 여러번 깨곤합니다

    자연스러운 부분이며 특별히 문제될것은 없습니다

    시간이지나고 수면이 익숙해지면 조금씩 잠이 늘어날수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는 잠드는 것이 어려우며 잠들었다 하더라도 자주 깨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는 상대적으로 얕은 잠을 자기 때문에 악몽을 꾸거나 바깥의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하여 울거나 뒤척이는 일이 잦습니다. 문제는 깬 다음에 스스로 잠이 들지 못하고 누가 옆에 있거나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1. 잠자리 온도를 시원하게 해주세요

    2. 많은 스킨십을 해주세요

    3. 손발을 자주 주물러주세요

    작은 시도일 수 있지만 위의 행동들이 도움이 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다가 깨는 아이일 경우 야경증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부분 깊은 잠에 빠졌을 때 나타나기 때문에 아침에는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다가 아이가 깨는 경우 안거나 토닥여 주면서

    다시 재우시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신생아는 자주 깹니다. 생후 몇 달 동안 신생아는 밤낮으로 시도 때도 없이 깹니다.

    신생아의 총 수면시간(하루 10~18시간)은 아기마다 다르지만 대부분 밤낮을 구분하지 않고 24시간 안에 균일한 간격으로 잠을 잡니다. 아기들은 보통 한 번에 2시간 에서 5시간 까지 잠을 잡니다. 아이가 배가 고프거나 기저귀를 갈아 달라는 신호를 보내면 바로 챙겨주세요!

    신생아 아기가 자주 깨는 이유는 배가 고프거나, 지나치게 피곤하거나, 어디가 아프거나 불편하기 때문 입니다.

    아기가 자주 깰 경우 기저귀를 갈고 속싸개를 다시 한 번 살펴봐 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속싸개가 답답하면 아기가 깰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잠자리가 불편하거나, 방안의 온도와 습도가 맞지 않아서 깨는 경우도 있으며 소화가 되지 않아서 배앓이를 하는 경우에도 아기가 깹니다.

    아기의 수면 유형이 갑작스레 바뀔 경우 아프다는 신호이거나, 또는 급성장이 배고픔 때문 일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온도가 맞지 않거나 습도가 맞지 않을 경우

    아이가 자주 꺨 수 있습니다.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여 주시고

    또한 잠자리 등을 최대한 어둡게 해주시는 등 해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자면서 많이깨서 걱정이많으신듯합니다

    우리아이가잘자주면좋겠는데 그렇지않으면 많이속상하고 걱정될수있습니다.

    아이가깨는것은 성장통 꿈 온도습도등 잠자리의불편함을들수있기에 이러한요인들을체크해보시길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통잠을 제대로 못자는 이유가 아가들 마다 다 다르게 다양하긴 한데 -

    그중 대표적으로는 아래의 상황들이 있어서 그럴수도 있는데 한번 참고해주세요. ^^

    *감기나 질병이 있을때

    아기들은 감가에 걸리면 콧물이 비강에 가득차게되고 편안하게 호흡하며 잠드는것이 불편한상황이 될수도

    있습니다. 비강에 콧물을 누워서 잠든자세에 더 차게되는데 아기들이 잘때 그르렁거리는 소리가

    심하게들리고 수면중 잠깐의 무호흡증을 보기이도 합니다. 잠들기전 콧속을 깨끗하게 콧물을 제거하고

    수면환경에 쾌적할수 있게 온도와 습도를 조절해 주는것이 좋습니다.

    *철분부족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혈액속의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철분이 부족할수 있습니다. 낮잠을 잘 자는 아기지만 밤잠을 잘 못자는

    경우 낮잠은 수면에 방해되는 요소가있으면 잘 깰수 있습니다.하지만 밤잠은 수면호로몬으로 인해서 정신이

    말짱하지 못한상황이라 뇌에 산소공급이잘되지 않으면 몸을 이리저리 뒤척이며 자주깨어나게 되는것입니다.

    ​영아기 수면장애의 가장 대표적인 문제가 하지불안증 입니다. 하지불안증이란 잠들기전에 이리저리 몸을

    뒤척이며 잠드는 상황으로 대표적인 철분부족의 증상입니다.

    성인들도 음식으로 모든 영양소를 흡수시키지못해 추가 영양제를 복용하는데 아기들은 6개월이후 소고기

    먹이는것에만 집중을 했더니 철분부족이 생길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혹여나 이유식이후에 잠에들때

    자주깨는 아기들이 있다면 철분부족의 증상이 있는것은 아닌지 잘 살펴봐야 합니다.

    *낮잠을 너무 많이자거나 마지막낮잠시간 줄이기.

    낮잠을 너무 길게잔탓에 아기가 쉽게 잠들지못하고 깊게자는 통잠을 못자게 되는경우가 있어요!

    엄마가피곤해 아기를 좀더 재우고싶긴하지만 마지막 낮잠시간을 조율해서 짧게하는것이 통잠자게하는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치아라 자라는지의 여부를 확인해보세요

    특히 어금니의 경우 통증이 심할 수 있어서 잇몸마사지나 이앓이 캔디 등의 사용이 도움 될 수 있습니다

    가급적 신체 활동을 늘려주시고 수면시간 조정해보는것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배가 고파서 자주 깰 수 있으니, 자기 전에 충분히 먹이는 것도 중요할 것 같아요.

    그리고, 자주 깬다면, 성장통에서 오는 통증이나, 또는 이가 나기 시작한다면, 이 앓이를 해서

    그럴 수 있으니, 자기 전에 팔과 다리를 주물러 주는 것도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