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값이 매매값보다 높은 아파트 암묵적 갱신해도 괜찮을까요 ??
제가 2년 동안 살다가 최근에 전세사기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습니다. 근데 한 동안 이 집에 계속 거주하고 싶은데 집주인에게 지불한 전세값이 지금 매매 시세보다 1200만원 정도 더 높습니다. 암묵적 갱신할 때 hug전세보장보험 가입하려 했는데 전세값이 높아서 가입이 안된대요. 등기부등본 상으로 근저당도 말소 됐고 의심되는 부분은 없지만 매매값 < 전세값 이게 마음에 걸리네요.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보증금이 더 높으면 자칫 보증금을 못돌려 받을 위험이 있습니다.
만약 주인이 보증금을 못주면 경매를 통해서 받아야 하는데 시세가 이미 전세금보다 낮으면 경매시에는 더 낮아집니다.
전세금 조정을 하던지 아니면 퇴거를 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임형순 공인중개사입니다.
간혹 전세보증 요건이 안되더라도 시장시세는 충분하게 높은 경우도 있으나,
질문하신 목적물의 경우 매매 시세보다 전세 시세가 높다면 당연히 보증보험인수가 불가하고 안전할 리가 없습니다.말하자면 경매가 아닌 정상시세로 집을 팔아도 전세보증금을 못내주는데 어찌 안전하겠습니까?
표현 그대로 깡통 전세입니다.
보증금을 감액조정 한다든지 계약을 종료 하는 것이 바랍직 합니다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전세값이 매매값보다 높으면 집주인께 전세가격을 좀내려달라고 협의해보세요
요즘은 전세가격이 많이 내려서 재계약할때 전세가격을 내려서 계약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임차인이 이사를 가신다해도 전세가격을 높게 내놓으면 안나가서 가격을 많이 내려서 내놓습니다
임대인과 협의를 잘해보세요
안녕하세요. 윤민구 공인중개사입니다.
요즘 역전세니 깡통전세니 말들이 많습니다.
암묵적으로 금액 변동없는 갱신하지 마시고 금액 하향 조정해서 재계약을 체결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당장 갱신을하지 않고 나간다고해도 임대인은 보증금을 반환할 능력이 없을것 입니다. 현재보증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면 보증보험을 실행하여 보증금을 반환받으시는걸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