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비만은 어떤 기준으로 판정하게 되는건가요?
소아 기준을 판명받게 되면 보통 다이어트를 권하게 되면서, 아이들이 금방 체격을 되찾는 경우도 있는데, 소아 비만은 어떤 기준으로 판정하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
소아비만은 성인과 다른 기준으로 판정합니다. 성인은 BMI 25 이상이면 과체중, 30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하지만 아이는 성장 과정에 따라서 체격과 체중 분포가 크게 달라서 연령, 성별별 성장곡선을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BMI가 같은 나이와 성별 또래 아동의 85백분위수 이상이면 과체중이며 95백분위수 이상이면 비만으로 진단합니다.
또한 단순히 체중만 보지않고 체지방률, 허리둘레, 성장 패턴, 가족력, 생활습관도 함께 평가합니다. 그래서 키가 크니까 괜찮다기보다는 성장곡선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소아 비만으로 진단되면 무리한 다이어트보다 균형 잡힌 식습관, 적정한 신체활동, 생활습관 교정을 우선 권합니다.
아이들의 경우엔 체중을 급격히 줄이기보다는 키가 자라면서 체중 증가 속도를 조절해서 정상 체격으로 자연스럽게 돌아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정리드리자면
소아비만은 BMI 백분위수 95이상을 기준으로 하며 생활습관 개선 중심의 관리가 원칙입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예은 영양전문가입니다.
소아 비만은 성장 단계에 따라 나이와 성별에 맞는 체질량지수(BMI)를 소아·청소년 성장곡선에 대입해 95백분위수 이상일 때 판정합니다. 85~94백분위수는 과체중으로 분류되며, 생활습관 관리와 추가 평가가 필요합니다.
조기 발견 시 식습관 개선과 활동량 증가로 체격이 정상 범위로 돌아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