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부, 빙모할때 빙은 어디서 유래했나요?
장인 어른, 장모님을 뜻하는 빙부와 빙모라는 단어에는 익숙하지만
평소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데요
여기서 말하는 빙이라는 음절은 어떤 뜻으로 어떻게 유래된 건인가요?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빙부, 빙모의 빙은 '장가들다'의 뜻입니다.
보통은 장인어른, 장모님으로 편히 높여 부르지만, 상이 있는 경우 고인을 존중하는 의미로 써왔다고 합니다.
한자로는 娉 '장가들 빙'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빙부 , 빙모는 평상시에는 잘 쓰지 않는 한자어 인데 한자어는 聘父, 聘母 인데 聘자는 부를 빙, 장가들 빙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즉, 聘父나 聘母는 장가들어 맺어진 아버지, 어머니라는 뜻이 되서 장인 (丈人), 장모(丈母)의 의미로 쓰입니다. 그 어원은 조선 시대로 거슬러 올라 가며 장인, 장모 님에 대한 부고나 공식 적인 의미로만 사용 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빙부(聘父)'와 '빙모(聘母)'에서 '빙(聘)'은 '초빙하다', '맞이하다'라는 뜻을 가진 한자입니다. 이는 사위가 장인을 높여 부를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결혼을 통해 사위가 장인의 집안과 인연을 맺고 장인을 공경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유래를 살펴보면 전통적으로 혼인은 두 집안간의 중요한 의례였으며 사위가 장인을 대할 때 예의를 갖추어 부르는 호칭이 필요했습니다. '빙(聘)'이라는 한자를 사용한 것은 신부를 맞이하는 과정에서 장인, 장모를 예우한다는 의미가 반영된 것입니다. '빙부(聘父)'와 '빙모(聘母)'는 장인과 장모를 높여 부르는 경칭으로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