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대출

상냥한나무늘보184
상냥한나무늘보184

청년도약계좌 담보 대출 금리 궁금증이있습니다.

청도계 담보 대출을 하면 기준금이+0.6퍼센트의 금리라고 하던데

그럼 청도계 기본금리 4.5 + 0.6의 이자를 내야 하는 건가요??

이렇게되면 카카오뱅크 비상금 대출보다도 훨씬 높은 이자를 감당해야 되는거 같은데.

담보가 있는 대출인데 금리가 더 높다는게 제 머리로는 이해가 되지 않아서요.

전세자금 마련을위해 주택청약,청도계 담보대출을 시행하려다보니 궁금해져서 질문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청년도약계좌 담보대출 금리 구조를 보면, 기본 금리에 은행이 자체적으로 붙이는 가산 금리가 더해져서 최종 금리가 결정되는 방식입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기본 금리가 4.5%고 가산 금리가 0.6%면 최종 금리는 5.1%가 되는 거죠. 이게 담보 대출인데도 꽤 높은 금리로 느껴질 수 있고, 실제로 카카오뱅크 비상금대출이랑 비교해보면 금리 차이가 꽤 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뱅크 비상금대출은 일종의 소액 마이너스 통장인데, 금리 범위가 4.5%에서 최고 15%까지로 꽤 넓습니다. 물론 신용 점수가 좋거나 은행에서 요구하는 우대 조건을 충족하면 최저 금리인 4.5% 가까이 적용받을 수 있죠. 근데 청년도약계좌 담보대출은 적금을 담보로 잡는 건데도, 기본 금리에 가산 금리를 더해서 최종 금리가 나오니까, 담보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비상금대출보다 오히려 높은 금리가 나올 수 있다는 점이 좀 아이러니합니다.

    왜 이렇게 청년도약계좌 담보대출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을까요? 몇 가지 이유를 짚어볼 수 있습니다. 우선, 청년도약계좌 자체가 정부 지원 상품으로 나왔지만, 막상 대출로 넘어가면 일반 금융 상품처럼 은행이 가산 금리를 붙여서 운영하니까 정책적인 메리트가 좀 떨어지는 거죠. 둘째, 담보로 잡는 게 적금인데, 이게 부동산이나 억 단위 자산처럼 은행 입장에서 확실한 담보로 보기는 어렵거든요. 그러니까 일반적인 담보 대출보다는 신용도를 낮게 평가할 수 있는 겁니다. 셋째, 은행마다 가산 금리를 다르게 적용하는데, 심한 곳은 1.3%까지 붙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결국 정리하자면, 청년도약계좌 담보대출이 정부 정책 상품이긴 하지만, 대출 금리 산정 방식은 일반 은행 대출이랑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겁니다. 그래서 적금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건데도, 신용대출인 카카오뱅크 비상금대출보다 이자를 더 많이 낼 수도 있다는 점을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 혹시 전세 자금 때문에 이 상품을 고려하고 계신다면, 다른 대출 상품 금리랑 꼼꼼하게 비교해보고 신중하게 결정하시는 게 현명할 겁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네 맞습니다

    • 만약 반대로 청년도약계좌 금리보다 저렴하게 대출이 된다고 하면 은행은 손해를 보면서

      대출을 해주는 꼴이 됩니다

    • 그 이유는 시간이 가는동안 4.5%라는 금리를 고객에게 내주는데 대출은 더 적은 금리로 내주면

      손해를 한 번 더 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 더 높은 금리로 대출이 나가는 것은 예적금담보대출의 기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청년도약계좌담보대출 금리는 도약계좌로 받는 금리와 다른 것입니다. 청도계 담보대출 기본금리는 금융사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략 0.6~1.25% 사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기본 금리는 4.5%이며 담보대출시 추가로 적용되는 금리는 0.6% 입니다.

    5.1%가 되는 것이지요.

    카카오 비상금 대출은 신용도가 최상위일때 4.51% 입니다. 이는 신용점수도 최상위이고 상환능력도 높아야합니다.

    실제로는 6% 이상이 많이 계약됩니다.

    담보대출이라도 무조건 저렴한 것은 아니며 금리도 중요하지만 최근 DSR 규제로 인해 대출 한도와 승인이 중요해지고 있는 것이지요.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