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
주 40.5시간 알바를 했을때 주휴수당계산법 알려주세요~
보통 주에 40.5시간 또는 42.5시간씩 알바하는데 주휴수당 계산법 알려주세요~
주 20시간과 주 40시간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도 틀리다는데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1주 40.5시간 내지는 42.5시간 근로를 제공하는 근로자의 주휴수당 계산을 위한 1일 소정근로시간은 8시간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단시간근로자의 경우 주휴수당은 '1주 소정근로시간/40x8x통상시급'으로 계산됩니다.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주휴수당 계산식은 소정근로시간/40*8*시급입니다. 따라서 40.5시간, 42.5시간의 경우에도 소정근로시간은 40시간으로 계산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주휴시간은 8시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1일 8시간, 주5일 근무하는 근로자의 주휴시간은 8시간이면, 주 20시간인 근로자의 주휴시간은 20/40x8 = 4시간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덕재 노무사입니다.
주휴시간은 1주에 40시간 이상으로 근로하더라도 8시간까지만 인정됩니다.
만일 1주 40시간 미만으로 근로하는 경우라면 1주 총 근로시간을 5로 나누어 주휴시간을 계산하고 그에 따른 주휴수당 금액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주휴수당은 통상임금에 주휴시간을 곱하여 계산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
단시간근로자에 해당한다면 통상근로자(1주 40시간)의 주휴수당 등에 비례하여 산정합니다. 이에, 소정근로시간이 1주 20시간 근로자라면 주휴수당은 4시간에 해당하며, 1주 40시간 이상이라면 8시간에 해당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