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의 구분없이 5인 이상 근로자의 기준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5인 미만과 5인 이상의 차이가 좀 크잖아요.
업종 상관없이 5인 이상으로 인정하는 기준은 똑같을까요?
2. 카페 업종, 아브라이트생인 것 같은데 4대보험 다 가입했고
직원은 5명 이상이 됩니다.
이럴 때, [근무한 직원 합산 / 가게 운영일수] 로 계산해서 5.0 미만이면 해당 안되나요?
4대보험 가입 여부랑은 상관없는 것이죠?
사업장에 고용된 형태로 있는 가족이 있다면 (아들이나 딸, 어머니 등)
근로자에 포함일까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1.업종별로 다르지 않습니다
2.4대보험 가입여부에 관계없이 상시근로자 수의 산정은 산정사유 발생일 전 1개월 동안 사용한 근로자의 연인원을 같은 기간 중의 가동 일수로 나누어 산정합니다.
단, 상기에 따라 산정한 상시근로자 수가 5인 이상이더라도 산정기간에 속하는 일별로 근로자 수를 파악하였을 때 법 적용 기준에 미달한 일수가 2분의 1 이상이라면 5인 미만인 사업장으로 간주합니다.
3.친족이더라도 고용관계에 있다면 상시근로자 수에 포함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지훈 노무사입니다.
상시근로자수 산정은 업종과 상관없습니다. 4대보험 가입여부는 상관없이 근로자라면 포함되며 가족도 가족이 아닌 근로자가 1명이라도 있다면 근로자수 산정에 포함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네 업종과 상관이 없습니다.
적어주신대로 계산하여 5인미만이라도 5인 이상 업무한 가동일이 한 달 1/2 이상이라면, 5인 이상 사업장으로
분류됩니다.
동거친족은 근로자성이 부정되므로 제외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