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김샐러
김샐러

인간이 자유롭지 않다면, 우리가 내리는 결정은 누가 내리는 걸까요?

자유의지와 결정론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더라고요. 인공지능이나 빅데이터가 발달하면서, 우리가 내리는 선택이 정말 우리 자신의 것인지 아니면 무의식적으로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 건지 궁금해졌어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ㅋ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AI와 빅데이터의 발달은 결론적으로는 인간에게 정확하고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제공하는 효과가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정보제공을 받아 선택을 하는것은 말그대로 인간의 자유의지에 따라 결정되게 됩니다. 물론 이러한 부분이 발달되고 인간이 익숙해지면서 점차 아무런 판단없이 해당 정보를 받아들이고 결정까지 이루어게 된다면 문제가 되겠지만, 이는 개인적인 영역에서 유의할 부분이지, 누군가에 의해 강제적으로 자유와 선택을 압박하는 장애로는 보기 어려다는 판단이 듭니다. 어느 기술발달이나 문제는 있을 수 있고 이를 받아들이고 개선하는 것을 판단하는 것도 결국 인간이기 때문에 의식없이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지만 않는다면 위와 같은 문제없이 인간의 생활편의를 높일수 있을것이라 판단이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우리의 생각들은 대부분 주변 환경에 습득한 정보들이 쌓이면서 습득을 하게 되는 결과물이 아닐까 생각을 해 봅니다. AI 등의 기술 방식도 인간의 생각의 데이터와 많은 경험적인 데이터들을 AI가 인간들 처럼 습득을 하면서 결정을 내리는 것과 비슷한 모습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

    흠.. 이런 질문은 정말 철학적인 고민이 아닐까 싶은데요 ㅎㅎ

    저희가 선택하는 모든 것들은 과거 경험,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 제한된 자유의지 일수도 있지 않을까요? AI 시대에는 이러한 선택의 패턴이 더 명확해 지고 예측이 가능해질 테지만,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완전히 기계적인 존재는 아닐 수도 있습니다.

    결국 중요한 건 우리가 자유의지를 믿는 것 자체가 의미 있는 일인가? 하는 거일 수 있습니다. 비록 결정론적 요소가 있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선택한다고 믿고 살아가며, 그 믿음이 우리의 삶을 바꿀 수도 있을 테니까요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문명이 발전해나면서 공동체 삶에서 각종규제와 지켜야할 공동체 삶에서 실질적 내부적인 자아의 자유는 끈임없이 자유의 의지는 무의식으로 제약받으며 책임 또한 의무적으로 강요되고 있습니다

    현대사회의 복잡한 인간관계는 심리적 부담을 주고 있으며 각종 복접한 실타레같은 인간관계에서 해방되기 위해 잠시나마ㅡ 나는 자연인이다ㅡ라는 스토리 뻔한 TV 내용이지만 채널을 켜게 됩니디

    따라서 자유의 의지는 자연과 함께 홀로 구속되지 않은 의지 속에 최대한 자아 행복이 깃든 것같습니다

    인공디능이나 박테이터의 발달은 삶의 영역에 스며드는 현대 문명의 끝은 어디일가 고민해 봅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자유의지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우리가 선택할 때 일정 부분 외부요인의 영향을 받더라도 우리가 주체적으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반면에 결정론은 모든 사건과 행동이 이전의 사건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하죠.

    저는 두 개념은 완전히 다른 개념으로 우리가 선택할 때 그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이나 과거 경험들이 있지만 그 선택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해석할지는 여전히 우리 자신의 의지에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우리의 선택은 완전한 자유의지가 아니라, 환경과 경험, 생물학적 요인, 그리고 데이터 기반 알고리즘의 영향을 받는 제한된 자유의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완전한 결정론도 아니고 완전한 자유의지도 아닌 혼합된 형태에 가깝다고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