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cotton
cotton

증권사에서 판매하는 ETF의 보수는 언제 납부하나요?

보통 주식 매매수수료는 매수/매도시에 납부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ETF의 운영사에게 주는 보수는 언제 납부하나요?

그리고 ETF는 매매수수료도 납부하고, 보수도 납부하는 건가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ETF의 운용보수는 별도 지급없이 자동으로 차감이 됩니다. 따로 내실 필요는 없습니다.

    또한 매매수수료는 매수나 매도할때 부과되며 거래대금에서 일부 증권사가 떼어 갑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ETF의 운용보수는 ETF를 보유하는 기간 동안 매일 조금씩 ETF 가격에 반영되어 자동으로 차감되며, 별도로 투자자가 직접 수수료를 납부하지 않습니다.

    매매수수료는 주식을 사고팔 때와 같이 매수와 매도 시점에 증권사에 납부하게 되어 ETF는 매매수수료와 운용보수를 모두 부담하게 됩니다.

    1명 평가
  • 매매수수료는 ETF를 매수하거나 매도할 때 바로 납부합니다. 일반 주식거래와 동일합니다.

    운용보수는 ETF자산에서 매일 조금씩 자동으로 차감됩니다.

    ETF를 보유하는 기간 동안 매일 운용보수가 차감되어 순자산가치에 반영되는 방식으로 간접적으로 차감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증권사에서 판매하는 ETF의 운용 보수는 투자자가 따로 납부할 필요가 없어요. 보수는 ETF 운용사에서 매일 ETF의 순자산가치(NAV)에서 자동으로 차감하는 방식이기 때문이죠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ETF 수수료는 투자자가 직접 납부하는 형태가 아닙니다. ETF 운용사는 수수료를 매일매일 일할 계산하여 ETF의 자산가치(NAV)에서 조금씩 자동으로 차감합ㅂ니ㅏㄷ. 따라서 투자자는 별도의 납부 절차 없이, 매일 주가에 이미 수수료가 반영된 상태로 거래하게 됩니다. 투자설명서에서 확인할 수 있는 연간 총보수율은 이처럼 매일 차감되는 금액을 연율로 환산한 비율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지 경제전문가입니다.

    ETF 매매 수수료 납부 시점은 주식 거래와 동일하게 ETF를 매수할 때와 매도 할 때 증권사에 납부합니다. 거래가 체결될 때마다 자동으로 거래 금액에서 차감이 됩니다. 증권사와 계좌 종류에 따라 수수로율이 다를 수는 있습니다. 보수 납부액은 직접적으로 납부 시점은 없고 매일매일 ETF의 NAV에 반영이 되어 차감됩니다. 납부 방식은 ETF 운용 관련 비용과 기타 비용을 합산한 총부수율만큼 매일 NAV에서 자동 차감됩니다. 즉 투자자는 주식처럼 거래 시 매매 수루료를 내고 펀드처럼 ETF를 보유하는동안 운용보수를 간접적으로 부담하게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ETF 보수는 투자자가 직접 내는 것이 아니라, 매일 운용되는 펀드의 자산에서 조금씩 자동 차감되는 방식입니다.

    투자자가 확인하는 ETF의 기준가격에는 이미 이 보수가 공제되어 반영된 상태입니다.

    주식 매매수수료처럼 매수/매도 시점에 따로 납부할 필요는 없습니다.

    ETF 투자는 운용 보수와 증권사에 내는 매매수수료 두 가지 비용이 모두 발생합니다. 매매수수료는 거래할 때마다 내는 것이고, 운용 보수는 ETF를 보유하는 기간 동안 내는 비용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증권사에서 판매되는 ETF 보수는 언제 납부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ETF는 매일 마다 가격이 조금씩 변동하며 그런 것을 통해서

    보수가 납부가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ETF 보수는 내가 직접 내는 방식이 아니라 ETF 순자산에서 매일 자동 차감되는 구조입니다,

    매매할 때 증권사 수수료를 내고 보수는 따로 청구되지 않습니다.

    즉 매매수수료 + ETF 보수 두가지 모두 적용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ETF의 운용보수는 따로 납부하지 않으며 ETF가격 자체에 자동으로 반영됩니다. 즉 처음 ETF를 매수했을때 해당 가격에 보수가격이 일부 책정이 되어서 반영됩니다. 즉 실제로 ETF를 매수했을때 가격에 자동으로 반영되는 방식이며, 만약 보수가 0.1%라고 가정하면 이를 일수를 365로 나눠서 매일 조금씩 가격에서 차감되는 방식인것입니다.

    매매수수료는 증권사의 수수료이며 이는 증권사가 주식이나 ETF모두 동일하게 수수료를 수취하는 방식이고 이는 매수/매도시점에서 차감되는 방식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