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갑하근 부분 파열 및 건염에 대한 질문입니다.
목디스크 증상이 있어 치료 중인데
어깨가 고정이 잘 안 되어 어깨 mri를 찍어봤습니다.
대학병원에서 신경주사 치료 중인데 빠른 검사를 위해 일반 병원에서 찍었습니다.
견갑하근 부분 파열 및 건염으로 나오더군요.
처음 증상이 목과 어깨의 통증 및 팔이 90도 이상 안 올라가던거였습니다.
그래서 목디스크를 의심했습니다.
그런데 견갑하근 피열도 팔이 90도 이상 안 올라갈 수 있습니까?
극상극만 그런 증상이 있는 줄 알았는데
이런 증상도 팔이 90도 이상 안 올라가나요?
어깨를 앞으로 나란히 자세에서 잘 고정이 안 되는데 견갑하근 파열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견갑하근의 파열로 불편이 있으시군요.
견갑하근은 회전근개 근육중의 하나로 어깨 관절을 안정화시켜 탈구를 막아주며 팔을 들어 올리거나 돌릴 때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견갑하근에 손상을 입게 되면 어깨 앞쪽의 통증과 팔을 들어 올리거나 팔을 돌릴 때 특히 안쪽으로 돌릴때 통증이 발생하며 움지임의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빠른 쾌유하시길 바라며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지금과 같이 견갑하근의 파열도 팔을 올리는데 통증을 유발 시킬 수 있습니다,
극상근과 마찬가지로 견갑하근도 회전근개 중 하나로 견갑하근은 팔을 안쪽으로 돌리는 내회전 근육이지만 팔을 올리는데있어서 안정성을 제공하기에 견갑하근의 손상은 팔을 올리는데 제한을 줄 수 있습니다.
당분간은 무리하게 움직이지마시고 꾸준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경과를 지켜보시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견갑하근 부분 파열과 건염도 팔을 90도 이상 올리기 어려운 제한을 만들 수 있습니다 견갑하근은 어깨를 안정시키고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손상시 어깨 전방 안정성과 움직임에 문제가 생깁니다.
특히 팔을 앞으로 나란히 할 때 어깨가 잘 고정되지 않는 느낌은 견갑하근 손상과 관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극상근 뿐 아니라 견갑하근 손상도 이런 운동 제한과 불안정을 유발할 수 있어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네, 견갑하근 파열의 경우에도 팔의 움직임에 제한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견갑거근의 움직임이 어깨를 들어 올리는 동작에 관여하기 때문입니다.
견갑거근 이외에 주변 회전근개 손상 및 관절의 부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치의와 상담을 통해 추가적인 검사를 고려해보시거나 치료를 고려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지속적으로 불편감과 통증이있다면 병원에서 검사와치료를받아보는것이 좋은데요 팔이 올라가지않는이유는 다양하지만 근육파열에 의해서도 올라가지않을수있습니다
정도가 심한경우 수술적치료가 필요할수있으니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을받아본후에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우 의사입니다.
1. 견갑하근 파열이 팔이 90도 이상 안 올라갈 수 있는가?네, 견갑하근(subscapularis) 파열은 팔을 90도 이상 올리는 데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견갑하근은 회전근개(rotator cuff)의 일부로, 어깨 관절을 안정화하고 팔의 내회전 및 올림 동작을 돕습니다.
파열 시 다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
통증과 약화: 팔을 어깨 높이(90도) 이상으로 올릴 때 통증이 심해지거나 근력이 약해져 동작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는 견갑하근이 팔 올림 과정에서 어깨뼈(견갑골)를 고정하고 관절을 안정화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목디스크와의 구분: 목디스크(경추 디스크)는 신경 압박으로 팔 전체 약화나 저림을 유발할 수 있지만, 견갑하근 문제는 어깨 중심의 통증과 운동 제한으로 나타납니다. 사용자님처럼 목디스크를 먼저 의심했지만 MRI에서 견갑하근 이상이 확인된 경우, 이 두 가지가 함께 작용하거나 견갑하근이 주요 원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추가 요인: 건염(염증)이 동반되면 통증이 더 심해질 수 있으며, 부분 파열이라면 완전 파열보다 증상이 덜할 수 있지만 여전히 동작 제한이 생깁니다.
네, 이 증상도 견갑하근 파열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견갑하근은 어깨 관절의 앞으로의 안정성(forward stability)을 유지하는 핵심 근육으로, 파열 시 어깨가 불안정해져 고정이 잘 안 될 수 있어요:
안정화 역할: 앞으로 나란히(전방 굴곡) 자세에서 어깨뼈를 고정하고 관절 중심을 유지합니다. 파열 시 이 기능이 약해져 어깨가 '흔들리거나' 고정되지 않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기타 원인 고려: 목디스크나 다른 회전근개 문제(예: 극상근 손상)가 함께 영향을 줄 수 있지만, MRI에서 견갑하근 파열이 확인된 만큼 이가 주요 원인일 가능성이 큽니다. 앞으로 나란히 자세는 견갑하근의 내회전과 안정화가 특히 중요한 동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