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긍정적인나비꽃
긍정적인나비꽃

아기들 기저귀 보통 몇살때부터 분리연습 시키나요?

아기들 기저귀는 오래차고있을수록 안좋다고하는데요.

보통 몇살때부터 분리연습을 하는게 좋을까요?

잘때는 아니더라도 일어나있을떄는 연습시켜야할거같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유치원 교사입니다.

    배변 훈련을 시작하는 시기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기저귀는 빠른 경우에는 18개월 후 부터 가리기 시작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소변을 가리는 시기는 24개월 전후로는 20%정도가 낮 소변을 가릴 수 있고 30개월이 되어야 80%정도가 소변을 가릴 수 있다고 합니다. 아이가 기저귀를 불편해 할 때,기저귀가 보송보송할 때, 혼자 숨어서 응가를 할 때,쉬,응아 한다고 표현할 때,대소변 간격이 4시간 이상 벌어질 때 등을 살펴보며 시작하면 됩니다.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배변 간격을 맞추도록 합니다. 처음에는 30분마다 변기에 간다던가 화장실을 간다던가 체크를 합니다.

    -배변 훈련을 하기가 가장 좋은 시기는 아이의 옷차림이 가벼운 여름이라고 합니다.

    -아이가 "화장실이 가고 싶다", "대/소변이 마렵다"는 적절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표현을 알려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을 다닌다면 기관과 정보를 주고 받으며 일관성 있게 하는게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기들의 기저귀 분리 훈련 시기는 개인별로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18개월에서 24개월 사이에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아이의 발달 상황에 따라 더 빠르거나 늦어질 수도 있습니다.

    분리 훈련을 시작하기 전에는 먼저 아이가 준비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아이가 스스로 바지를 내리거나 올릴 수 있는지, 의사소통이 가능한지 등을 고려해보세요. 그리고 아이가 편안하게 배변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변기를 아이의 취향에 맞게 꾸며주거나, 배변 훈련용 애니메이션이나 노래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처음에는 아이가 실수를 할 수도 있지만, 이때 혼내거나 독촉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신 격려와 칭찬을 해주며, 아이가 자신감을 가지고 계속해서 시도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마지막으로, 밤에는 아직 기저귀를 착용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수면 중에 배변을 조절하는 능력이 아직 부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아기들의 기저귀 분리 훈련은 천천히 여유롭게 진행하는 것이 좋으며, 아이의 성장과 발달에 맞춰 적절한 시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님의 꾸준한 노력과 지원이 있다면 아이는 결국 성공적으로 기저귀를 뗄 수 있을 것입니다. 설명이 되셨나요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네 우선 아이가 소변을 참을 줄 아는 점이 보이면 이때부터 기저귀를 분리시키는 연습을 해보면 좋습니다. 대략 36개월 전후로 하여 기저귀 분리 연습을 시키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실수하더라도 다그치지 마시고 잘 타이르면서 기저귀 분리 연습 하시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보통은 24개월이 되면 기저귀 떼는 연습을 시작 합니다

    성장 속도가 다르니 처음부터 잘 되는 아이가 있고 시간이 다소 걸리는

    친구들도 있어요

    잘 때는 기저귀기 차고 낮에는 기저귀 사용 안 한다면 아이들이 혼란 할 수

    있으니 준비를 많이 하시고 팬티를 입으면 기저귀를 채우지 않은 것이 좋습니다

    아이에게 기저귀를 차지 말아야 하는 이유를 충분히 설명 하시고 팬티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혹 아이가 실수 하더라도 부모님의 표정이 좋지 못하고 언어가 부정적이 다면

    아이는 주눅이 들 수 있고 다시 기저귀를 차려고 합니다

    실수 할 수 있고 괜찮다고 다음에는 꼭 용변 보고 싶으면 꼭 이야기 해 달라고 하세요

    물을 많이 먹거나 음료수를 많이 먹을 경우 용변 보는데 신경을 더 쓰시고

    시간이 많이 지나도 말을 하지 않을 경우 아이에게 소변 보고 싶지 않냐고

    물어 보기도 해야 합니다

    만화 영화나 좋아하는 영상을 볼 때에 간혹 참는 경우가 있어 실수를

    잘 합니다 유의 하셔서 잘 살펴 보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대변 가리기는 29개월 경(16개월~48개월), 소변 가리기는 32월 경(18개월 ~60개월)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선은 아이와 언어적 소통이 가능해야 하며 아이에게 기저귀가 이제는 헤어져함을 인지시켜 주시면서 아이가 기저귀가 헤어질 수 있는 마음의 준비 시간을 충분히 준 후에 대,소변가리기 훈련을 들어가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

    보통 빠르면 두돌 지나서 연습하고 늦어도 세돌까지 자연스럽게 두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린이집에서 친구들이 화장실을 가서 볼일을 보는 것을 인지하면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되구요.

    보통 두돌 지난 여름에 연습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기저귀 분리 연습은 18개월에서 2세 사이에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배변 신호를 인식하고, 화장실 사용에 관심을 보일 때부터 시작할 수 있습니다. 낮에는 기저귀를 벗고 화장실을 이용하는 연습을 하면서 점차적으로 완전한 분리로 나아가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하셔서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아기들은 보통 2세에서 3세 사이에 기저귀 분리 연습을 시키고 있습니다. 화장실 가기 전에 불편함을 표현하거나 기저귀가 마른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는 아기가 준비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낮 동안 일관되게 연습시키고 밤에는 준비가 될 때까지 기저귀를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기저귀 분리 연습을 3살때 시작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그 전에 아이들에게 보형을 통해서 연습하는 시간을 준다고 합니다. 아이들의 경우에는 모형을 비치해서 아이들에게 하는 시늉을 보여주면 연습을 하곤 합니다. 이렇게 실제로 분리 연습을 하기 전에 해주시면 좋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기저귀 떼는 시기는 우리 부모님들께서 유념하셔야하는 시기입니다. 아기의 인생에서 큰 변환점이 되는 시기랍니다. 아이들 대소변을 가리는 시기는 보통 24개월 두돌 넘어가고 빠르면 3살 ~4살 넘어가는 시기에 많이 시작합니다. 아이들이 기저귀가 불편하다고 기저귀를 벗겠다는 표현을 하게 되는 시기가 오는데요. 그때부터 기저귀를 떼는 연습을 해주세요. 시중에 판매하는 아이들용 휴대용 변기를 구비해 주셔서 아이들이 가정에서 대소변을 가리는 연습을 할 수 있게 보조해주세요. 보통은 어린이집에서 가정에서 대소변 가리는 연습시켜달라고 안내해주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보통 기저귀 떼는 시기는 아이마다 다를수는 있지만 말귀를 알아듣고 소통이 가능할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빨리 떼는 아이는 2세에서 시작하기도 하지만 너무 어릴때 하다보면 아이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되기 때문에 3세정도에 기저귀를 떼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저귀떼는 연습을 하기전에 미리 아이용 변기를 준비해서 놀이식으로 쉬나 응가를 흉내면서 앉히는 연습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수 있으며 아이가 신호를 줄때 시작해도 좋을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입니다.

    분리연습이 아닌 배변훈련 시켜야 기저귀를 뗄 수가 있겠죠. 배변 훈련은 아기의 대소변을 변기에 보게 하는 훈련인데요. 보통 빠르면 18개월부터 시작하고 늦으면 21개월부터 시작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기저귀 분리는 대부분 소변과 대변의 시기가 다르게 하고 있어요.

    소변을 먼저가리고 대변은 좀 늦게 가리거든요.

    보통아이들은 소변은 18개월부터 소변을 가리게 하고 있고

    대변의 경우 24개월부터 4세까지 기저귀를 하고 있어요.

    아이가 활동할때 기저귀를 떼주시고 규칙적으로 소변을 볼 수 있도록 유도해주면 도움이 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