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직의 경우 실업급여 수급 대상에 해당되는지요
계약직으로 근무하고 있으며,그 단위는 1년입니다.
4대보험 납부를 하고 있다면,계약만기시 실업급여 신청 가능요건이 되는지 알고자 문의합니다.
(아니면 만기 계약해지는 해고가 아니므로 실업급여 대상자가 아닌지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계약만료도 비자발적 퇴사에 해당하므로 계약만료로 퇴사하면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노무사입니다.
근로계약이 만료되어 퇴사하면 실업급여 수급대상이 됩니다. 계약만료시 회사에서 재계약을 제안하였는데 근로자가 거절하여 퇴사하면 자진퇴사이므로 실업급여 수급이 되지 않습니다.
계약기간 종료는 실업급여 대상이 맞습니다. 다만 회사가 계약갱신을 요구하였으나 근로자가 이를 거부하고 퇴사시에는 자발적 퇴사로 보아 실업급여 대상에서 제외될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계약, 즉 계약직 근로자의 경우 계약기간의 만료와 더불어 사용자의 명시적인 계약 연장 거부의사가 있다면,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질문자님과 같이 계약직 근로자의 경우 계약기간만료와 함게 사용자의 연장 거부의사가 있어야만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참고 바랍니다.
기간제 근로계약을 체결한 경우, 기간제 근로자가 계약기간의 만료로 인하여 퇴사한다면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한 퇴직사유에 해당합니다
안녕하세요 차호재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만으로는 정확한 사실관계의 판단이 어려우나,
1년 근무 이후 계약 종료로 퇴사한다면 실업급여 대상에 해당합니다
해당 사업장이 상시 사용하는 근로자 수가 5인 이상이라면 반복/갱신된 근로기간이 2년을 초과한 경우에는 계약기간 만료로 인한 이직으로서 구직급여를 신청할 수 없으나, 2년을 초과하지 않거나 상시 근로자 수가 5인 미만이라면 계약기간 만료로 인한 이직으로서 구직급여를 수급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수 노무사입니다.
계약직의 경우 계약만료 퇴사라면 실업급여 수급 가능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세요.
정확한 사정은 모르겠지만 계약직으로 근무하는 상태에서 회사에서 재계약을 해주지 않아 계약만료로 퇴사를 한다면 비자발적 퇴사에 해당하여 실업급여 신청 및 수급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계약기간 만료로 인한 퇴사는 실업급여 수급사유에 해당합니다. 1년을 채우고 계약종료 돠었다면 신청이 가능할 것 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의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히 판단이 어려우나, 1년 계약직이 계약만료로 근로관계 종료 시 실업급여 수급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