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꽤당돌한부르주아
꽤당돌한부르주아

25개월 아기가 아직 말이 느립니다ㅜㅜ

25개월 남자아기입니다 일단 저희가 말 하는건 거의 다 알아들어요.. 반응도 굉장히 잘하고, 근데 할 줄 아는 단어가 엄마, 아빠, 아가, 까까, 부웅, 물, 아야 이정도 입니다.. 대부분 으응~우- 이러면서 표현을 해요 뭐가 먹고싶으면 손가락으로 입 가리키면서 아 하고, 행동모방도 굉장히 많아요 책도 많이 읽어주고 질문도 많이 하는데 뭘 더해야 아기가 말이 트일까요? 참고로 아빠가 주양육이고 굉장히 잘 놀아줍니다 할머니 할아버지도 근처에 계셔서 더 어렸을때부터 잘 놀았구요 어린이집에서도 표현은 굉장히 많이 한다고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25개월 아이가 말이 느려서 걱정이 되는것 같습니다.

    생후 12개월경에는 두 단어 또는 세 단어의 의미 있는 말을 고정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합니다.

    18개월~24개월 사이는 언어 발달이 가장 활발한 시기입니다.

    18개월에는 10개가량의 단어를 사용하는 정도였다면, 24개월에는 사용할 수 있는 단어가 100~200개로 늘어나게 된다고 합니다.

    이런 점을 유심히 살펴보고 언어지연으로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이 있다면 병원이나 발달센터에 방문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마다 언어발달이 달라 말이 느린 아이들도 많이 있어요.

    현재 아이가 말을 잘 알아듣고 표현과 소통을 잘하고 있다면 너무 걱정안하셔도 될듯해요.

    말이 트일수 있도록 아이의 성장을 관심가지며 조금 더 지켜봐주세요.

    그리고 아이들은 엄마와의 의사소통으로 심리적 안정감을 가지는 중요한 시기이니

    엄마와 이야기 하거나 감정을 공유하는 시간을 많이 가졌으면 좋겠네요.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25개월인데도 말이 늦다고 느끼실 수 있지만, 사실 많은 아이들이 이 시기에는 말이 늦을 수 있습니다. 말이 느리거나 적은 단어를 사용할 때, 여러 가지 요소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언어 발달에 있어 자연스럽게 다양한 발달 단계를 거쳐가고 있다는 점에서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아이가 현재 하고 있는 행동들을 보면, 반응을 잘하고 이해력이 뛰어난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의사소통은 잘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 시점에서 중요한 점은 말을 많이 듣고, 말하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표현하는 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응하며 확장된 표현을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까까"라고 하면 "까까가 맛있겠다!" 또는 "까까 먹고 싶구나, 어떤 까까가 먹고 싶니?"라고 대화의 폭을 넓혀주세요. 아이가 이해는 잘 하지만 말은 더디게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아이의 말을 듣고 그에 대해 더 많은 언어를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책을 많이 읽어주고, 놀이 중에 언어를 자연스럽게 활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놀이를 통해 아이가 새로운 단어를 배우고, 상호작용을 많이 할수록 말이 더 빨리 트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그림책을 보며 "이건 무엇일까?", "이건 어떤 색이니?"라고 질문을 하거나, 아이가 원하는 장난감을 보고 그 이름을 정확히 말해주면서 언어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좋습니다.

    아이마다 언어 발달의 속도는 다르므로, 너무 큰 걱정을 할 필요는 없지만, 정기적인 체크와 관심을 갖고 계속해서 말하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주양육자와 충분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면, 계속해서 긍정적인 환경을 제공해 주세요. 다만, 말이 늦어 보이더라도 언어 발달에 어려움이 있을 때는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25개월 아이가 언어의 지연을 보이는 이유는

    아이가 말이 트일 무렵 적절한 언어자극 제공이 부족한 탓 입니다.

    아이의 언어는 아이가 옹알이를 시작할 때 부터 옹알이에 즉각 반응을 해주고, 아이가 말이 트일 시기에 아이에게 언어적 자극을 제공을 해주어야 합니다.

    아이의 언어자극 제공 방법으로는 책을 꾸준히 읽어주는 것, 아이에게 자주 말을 걸어주고 질문을 해주면서 아이가 답변 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주는 것 입니다.

    아이가 아직 말이 트이지 않는 이유는 아이의 성장발달이 느려서 그럴 수 있습니다.

    아이의 성장은 개인차가 있습니다. 언어적.신체적으로 빠른 아이가 있는가 반면 느린 아이들이 있어요.

    우리 아이는 현재 느린 아이에 속하는 것 같습니다. 마음을 급하게 먹고 아이를 걱정하는 티를 아이 앞에서 표현을 하면 아이는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매일 꾸준히 아이에게 언어적 자극을 제공해 주면서 아이의 언어적 발달을 도와주세요.

    하지만 만 3세 이후로 아이의 언어적 변화가 보이지 않는다면 언어센터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말을 하는 시기가 조금씩 다 다르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옆에서 도움을 주면서 조금은 기다려 주시는게 좋겠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관찰을 잘 해주시다가 조금 더 늦는다고 하면 병원 진료를 받아 주시는게 좋다고 생각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