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매매가보다 전세가가 높은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30대 후반 직장인 남성입니다 지방 아파트 경우 전세가가 매매가보다 많은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왜 일어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창효 공인중개사
      유창효 공인중개사
      대한 공인중개사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처음부터 이렇게 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보통 빌라나 오피스텔의 경우 시세가 부정확하기 떄문에 전세금이 시세대비 크게 차이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쉽게 전세가율이 70%을 초과한 매물이 매우 많습니다. 이런 경우 부동산 시장 하락이 올 경우 주택가격이 하락하면서 전세가보다 낮아지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를 깡통전세라고 합니다. 결국 부동산 가격하락이 해당 현상이 일어나는 가장 큰 이유라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매매가와 전세가는 가격변동에 따라 달라집니다. 보통 매매가가 전세가보다 높은데, 매매가보다 전세가가 높은상태는 부동산 경기가 좋아 매매가가 높은 상태에서 전세가가 높아져 있었고 부동산 경기 하락으로 인해 매매가가 떨어져 기존 계약했던 전세가는 그대로 유지되어 매매가가 더 낮아질 수 있습니다. 이때에 새로운 세입자를 구하게 되면 전세가를 더 낮춰야 하고 그에 따라 집주인은 그 차액만큼 뱉어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반적으로 매매가보다 전세가가 낮습니다.

      하지만 집값 하락기에 매매가가 일시적으로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집값이 한참올랐을때 전세가가 많이 올랐을겁니다

      그런데 지금은 집값이 떨어지고 전세는 지금 만기가 끝나서 높게 나온 상황인거 같습니다

      집이 안나가면 전세가도 떨어지겠지요

      안나가면 떨어질것이고 나가면 전세가가 그대로 유지될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매매가격보다 전세가격이 높은 경우 아주 비정상적인 사항입니다. 이러한 집은 가급적 입주를 하지 않는 것이 보증금 보호에 절대적이라 할 수 있슴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