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신중한하마99
신중한하마9923.07.23

기록으로의 역사와 사실로의 역사의 가장 큰 차이점이 뭔가요?

역사 공부를 하다가 알게 된 사실인데 역사를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역사로의 기록과 사실로의 기록이 그러한데

이 두가지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원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역사라는 말은 사람에 따라 다양한 뜻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과거에 있었던 사실’과 ‘조사되어 기록된 과거’라는 두 가지 뜻을 지니고 있다. 즉, 역사는 ‘사실로서의 역사(history as past)’와 ‘기록으로서의 역사(history as historiography)’라는 두 측면이 있다. 전자가 객관적 의미의 역사라면, 후자는 주관적 의미의 역사라 할 수 있다.

    사실로서의 역사는 객관적 사실, 즉 시간적으로 현재에 이르기까지 일어났던 모든 과거 사건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역사는 바닷가의 모래알 같이 수많은 과거 사건들의 집합체가 된다.

    기록으로서의 역사는 과거의 사실을 토대로 역사가가 이를 조사하고 연구하여 주관적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역사가의 가치관과 같은 주관적 요소가 개입하게 되며, 이 경우 역사라는 말은 기록된 자료 또는 역사서와 같은 의미가 된다.

    우리가 역사를 배운다고 할 때, 이것은 역사가들이 선정하여 연구한 기록으로서의 역사를 배우는 것이다.

    자료출처 : 우리역사넷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실로서의 역사는 객관적 사실만을 의미하는 것이고. 기록으로서의 역사는 과거의 사실을 토대로 역사가가 이를 조사하고 연구하여 주관적으로 재구성한 것이니 주관적 해석이 들어갔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실로서의 역사는 객관적인 의미의 역사로서 "일어난 모든 사건"으로서의 역사를 말합니다. 기록으로서의 역사는 주관적 의미의 역사로서 "기록된 자료, 역사서"라는 측면에서 말하는 역사입니다. 즉, 주관성과 객관성이 가장 큰 차이 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역사는 기록으로서의 역사 입니다. 즉, 역사가 비록 사실이 아니더라도 기록된 바에 의하면 그것이 사실이 되어 버린 다는 것 입니다. 그래서 역사는 승리한 사람에 의해서 주관적으로 기록된다는 말이 나온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