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층짜리 아파트는 언제 생긴거죠??
저는 아파트 하면 항상 10층 이상 높게 지어진 아파트를 상상했습니다 그런데 간혹 길을 가다보면 5층정도 되는 아파트가 몰려있는걸 본적있는데 이런아파트는 옛날에 지어진거죠?엘레베이터 없겠죠?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는 건축법상 5층 이상의 공동주택인데, 5층 아파트가 본격적으로 지어진 것은 1973년 반포 주공아파트 였습니다. 건축법 제64조에 따르면 6층 이상 연면적 2천m2 이상인 건축물인 경우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보니 이를 만족하기 위해 5층까지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지 않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건축법상 아파트는 5층이상의 공동주택을 말합니다. 엘레베이터의 경우는 있는 경우도 있으나 해당건설시점을 고려하면 없는 경우가 더 많을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5층의 저층 아파트가 많이 지어진것은 산업화시기에 해당되면 주로 60~70년대에 나타난나게 되었습니다. 당시에는 서울인구집중등으로 인해 주택부족이 심화되었고 그에 따라 빠르게 주택공급이 가능한 방법으로 해당 아파트 형태가 많이 건축되었습니다. 그 뒤 도시계획이라는 개념과 주택건설에 관한 법률등이 생겨나게 되면서 80년 후반부터는 지금의 중층 아파트들이 건축되기 시작하였고 그후에는 지가상승등의 이유와 건축기술의 발달에 따라 점차 고층아파트들로 변화되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5층 아파트는 1930년대부터 서울의 충정로 유림 아파트 같이 일제에 의해 처음 지어졌고 1960~1970년대 원도심, 신도시 곳곳에 대규모 단지로 지어진 것이 지금까지 남아 있는 것입니다.
당시 건축법상 5층 이상이면 공동주택으로 분류했고 엘리베이터 설치는 법적으로 의무가 아니었기 때문에 5층 이하 아파트에는 엘리베이터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1960년대 후반 ~ 1980년대 초반까지 서울에 대거 지어졌습니다
서울 강북권의 삼익아파트,청구아파트
송파 석촌동, 강동구 둔촌동, 영등포구 신길동 등에도 이런 유형이 많았습니다
당시에는 고층 건축 기술, 자재, 규제 등 여러 여건이 부족했고, 엘리베이터 설치 의무가 없었기 때문에 5층 이하가 대세였습니다
1990년 이전에는 6층 이상 건물에만 엘리베이터 설치 의무가 있었고 따라서 5층 아파트는 엘리베이터가 없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지금도 4~5층 아파트에 사는 분들은 무거운 짐 들고 오르내림이 불편한 주요 이유입니다
일부는 최근에 국가 또는 지자체의 리모델링/승강기 설치 지원사업으로 나중에 엘리베이터를 추가로 설치하기도 했습니다(비용은 입주민 분담)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원래 아파트는 5층 이상의 공동주택을 의미를 하게 됩니다.
예전 아파트 건설이 시작될 무렵 부터 5층 아파트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아파트가 건설이 되기 시작했고, 당시 엘리베이터는 없었습니다. 지금도 도심에 아직 많은 엘리베이트 없는 5층 아파트가 많이 있으며, 이 아파트 들은 재개발이나 재건축을 기다리고 있는 모습니다. 우리나라 5층 아파트의 시초는 1932년 충정로에 5층짜리 충정아파트가 준공되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아파트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5층 아파트는 주로 1970-80년대 초기에 지어진 것들이 많으며 엘리베이터는 설치 의무가 없기에 대부분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고수영 공인중개사입니다.
5층 아파트 같은 겨우 1970~80년대에 지어진 저층 공동주택일 가능성이 큽니다.
단시 건축법상 5층이상 건물에는 엘레베이터 설치 의무가 있고 5층까지만 엘레베이터를 안 넣었기 때문에 건설사 입장에서는 경제적이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1970~80년대 5층 짜리 무엘리베이터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습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