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가격의 향방(단기/중장기 관점)
서울 아파트 가격이 정말 자고 일어나면 올라 있는 것 같습니다.
향후 가격이 어떻게 될지 의견들이 궁금해요
단기 : 1~3년
중장기 : 10년 이상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은 중장기적으로도 오를 가능성이 높지만,모든 아파트가 오르지 않습니다
재건축 가능성, 역세권, 중심지 등 좋은 입지+희소한 상품은 오르겠지만,
서울 외곽의 구축 아파트는 가격 정체 또는 하락 가능성도 큽니다
단기 (1~3년)는 국지적 상승 (강남, 재건축 등), 외곽은 정체/조정 가능성 있습니다
중장기 (10년 이상)는 수도권 집중, 인플레이션 등으로 서울 핵심지는 강세 유지를 하겠지만 양극화는 심화될거 같습니다
서울 아파트라는 말은 너무 넓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느 지역인지, 어떤 단지인지가 중요합니다
좋은 입지 + 상품성 있는 신축 + 교통 호재가 있으면 중장기적으로 우상향 가능성이 큽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현재 서울의 경우 공급이 부족하므로 상승의 모멘텀은 있지만 정부의 수요억제 정책 즉 대출 규제등으로 단기적으로 보합 내지 하락을 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여지고 중장기적으로 볼때 서울의 공급량에 따라서 방향은 달라 질 것을 보여 집니다. 하지만 현재 인기지역 위주의 상승 즉 양극화 현상은 계속 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2025~2028까지 하락 횡보할 수 있다고 보지만 타 전문가들은 공급 부족 인플레이션, 금리 인하 등 요인으로 새 상승 국면 초입에 들어설 것 같습니다. 이 시기에는 이미 입지 좋은 부동산을 선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0년 후에는 서울의 아파트 시장은 초고가 단지 일부가 급등하면서 접근 가능한 중간 가격대도 꾸준히 올라갈 것으로 예상합니다.
인구 집중, 재건축 규제 완화, 초저금리 흐름 정착, 공급 절벽 등 장기적 수요, 공급 불균형 구조로 인해 많은 전문가들이 장기적으로 전 고점을 뛰어넘는 가격 상승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서울의 경우는 우선 단기적으로 오를 수밖에는 없는 상황인거 같아요. 금리 인상이나 규제로 인해 거래량 줄고, 공급부족은 여전하니까요. 하지만 아직도 서울이 가지는 압도적인 지리적 장점을 대체할 수 있는 도시가 있는 것도 아닙니다. 다만, 규제가 계속되고 있는 만큼 풀어두었을 때처럼 많이 오르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중장기적으로 10년 이상을 생각해 본다면, 이 또한 지역별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오히려 서울로 사람이 몰리거나 몰리지 않더라도 서울 부동산의 가격이 떨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도 지방 인구가 더 빠르게 줄면서 일부는 서울로 올라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어 서울 주택에 대한 수요가 더 커져버릴 것 같아요.
제가 바라본 관점에서 적어보았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