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호프배달
호프배달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부동산 상승관 밀접한 관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부동산에 관심이 있는 30대 후반 직장인 남성입니다. 요즘 서울 부동산 시장이 심상치 않은데 아파트 실거래가지수가 많이 상승되었다고 집값이 상승할거라는 전망이 나왔는데 이 지수가 부동산 상승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안녕하세요. 부동산에 관심이 있는 30대 후반 직장인 남성입니다. 요즘 서울 부동산 시장이 심상치 않은데 아파트 실거래가지수가 많이 상승되었다고 집값이 상승할거라는 전망이 나왔는데 이 지수가 부동산 상승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건가요?

    ==>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가 상승하면 부동산 시장에 여려 가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주택 구매자, 투자자, 그리고 전체 경제에 중요한 신호로 자굥될 수 있습니다. 실거래가 지수 상승의 영향으로 주택 수요증가, 투자 심리개선, 분양가 및 전세가격 상승 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실거래가지수는 말그대로 실제 거래된 내역들을 가지고 만든 통계자료입니다. 지수가 상승하고 있다는 말은 실제 거래가격이 상승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다만 이 자료는 이미 거래가 된 자료만을 가지고 나온 수치이기에 과거형이자 결과형 지표이므로 이 지표만으로 앞으로도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하기에는 신뢰성이 높지 않습니다, 다만 주택거래량이나 다른 통계를 종합해 앞으로도 실거래가 지수는 계속 상승될것이라고 예측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에 따라 주택가격도 상승세가 이어질것으로 예상하는 것입니다.

  • 실거래가가 많이 오르면 최근에 실제로 거래되는 금액이 올랐다는 뜻입니다.

    그런 자료가 많이 나올수록 아무래도 매수 대기자들이 더 오를까 불안해질 수 있습니다.

    그런 대기수요들이 시장에 패닉바잉으로 나타나기도 하니 가격이 더 오를 여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별점 5점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실제로 거래된 매매 시세입니다.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실거래가 오르면 많은 사람들이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있구나 생각하여 매수세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형순 공인중개사입니다.

    매매 실거래가는 매매 계약 후 30일 이내에 의무적으로 신고된 내용을 바탕으로 하는 것으로 현재의 시장 상황을 정확히 반영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실거래와 더불어 유사 매물의 거래량까지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면 상승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입니다.

    참고가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실거래가격지수는 전국의 재고 아파트 및 연립.다세대주택을 대상으로 실제 거래 신고된 주택의 거래 가격수준 및 변동률을 파악하여 시장동향 정보를 제공하는 통계이므로 믿을만한 자료이고 실제 부동산 가격 상승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한국부동산원 R-ONE 부동산통계뷰어 사이트 (www.reb.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국토부 사이트에 오른 실거래가로 신고가 되고 있다면 분명 실수요자들은 불안할수 있습니다

    오르고 있다는것은 그만큼 수요자가 있다는것이고 공급이 부족하다면 더오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부동산 시장의 동향을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 지수는 특정 기간 동안의 아파트 거래 가격을 반영하여, 시장의 가격 변동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실거래가지수가 상승하면, 이는 수요가 증가하거나 공급이 줄어들어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그러나 실거래가지수의 상승이 항상 집값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금리 인상, 정부의 부동산 정책, 경제 전반의 상황 등이 집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지역의 실거래가지수가 상승하더라도, 다른 지역에서는 하락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