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탕 대체 감미료가 장 속의 미생물에 영향을 주나요?
설탕 대체 감미료는 칼로리가 낮고 혈당을 안올리기에 많은 분들이 섭취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설탕 대체 감미료가 장 내 미생물에 영향을 준다고 하는데 맞나요?
설탕 대체 감미료는 장내 미생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다양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사카린 등과 같은 인공 감미료는 장내 미생물군의 다양성을 감소시키거나 특정 유해균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장내 미생물 균형을 깨뜨려 소화불량, 복부 팽만감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대사 기능 장애나 염증성 질환과 관련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설탕 대체 감미료가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섭취량이나 개인의 장내 환경에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임원종 영양사입니다.
좋은 질문 잘 확인해보았습니다.
네 실제로 감미료가 장내 미생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정리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국내 보도에 따르면 인공감미료를 섭취한 그룹에서 소장 내 미생물 다양성이 감소되었다 합니다. 특히 아스파탐은 상대적으로 안전성을 보였지만, 다른 감미료인 사카린, 수크랄로스는 미생물 균형을 깨뜨릴 수 있고 합니다.
아스파탐 섭취자는 대조군에 비해서 실린드로스퍼몸신이라는 독소를 배출하는 미생물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이 독소는, 간과 신경계에 유해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제로슈거 제품처럼 제로당 라벨이 붙은 감미료도 장내 유익균 감소, 유해균 증가, 소화불량 및 복부 증상의 악화, 심지어 면역체계 약화와 관련될 수 있다고도 합니다.
물질 자체는 칼로리가 없어도 장 건강엔 부담일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부 당알코올인 말티톨, 솔비톨은 소화불량, 설사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고 식약처에서도 경고 하고 있습니다.
대체 감미료는 장내 미생물 구성 변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사카린, 수크랄로스 등은 미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어서 일부는 독소 생성균 증가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장 건강과 면역 기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일부 당알코올은 직접적인 소화기 증상을 유발할 수 있구요.
현재까지 단기간 실험 중심이 많아서 인체 건강에 결정적으로 해롭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잠재적 리스크는 분명 존재하기도하니 하루에 제로 음료는 500ml이하로 제한해서 드시면 괜찮겠습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예은 영양전문가입니다.
일부 설탕 대체 감미료는 장내 미생물의 구성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인공 감미료(아스파탐, 사카린 등)는 미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키거나 대사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영향은 개인차가 크며, 감미료 종류와 섭취량에 따라 달라집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영양전문가입니다.
네 일부 인공 감미료는 장내 미생물 조성에 변화를 줄수 있다는 연구가 있답니다.
다만 개인차가 크고, 섭취량과 종류에 따라 영향이 어느 정도가 달라진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