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아리따운참고래164
아리따운참고래164

거북목 증상은 흔한 병이라고 보는게 맞겠죠?

성별
남성
나이대
40대

얼마 전 신경외과 갔다가 거북목이라는 판정을 받아서 그래도 허리나 이런 곳은 나름 바른자세로 괜찮다고 생각했었는데 엑스레이로 본 제 목 상태를 보니 좀 뭔가 한심하네요...

건강상에 문제는 없겠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거북목으로 걱정이 있으시군요.

    장시간 앉아서 컴퓨터를 하시거나 목을 앞으로 숙이고 핸드폰을 보거나 책을 보는 등 좋지 않은 자세나 습관으로 인하여 거북목의 경추 질환을 유발할 수가 있습니다.

    심한 경우 목과 어깨 주변 통증이나 어지러움, 두통, 팔의 저림 등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좋지 않은 자세나 습관을 고쳐 주시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해 나가시는 것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거북목은 현대인에게 매우 흔한 자세성 문제로 조기에 관리하면 큰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방치하면 목 디스크, 어깨 통증, 두통 등으로 진행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스트레칭, 자세교정, 모니터 높이 조정 등 일상관리로 충분히 개선 가능합니다. 지금부터라도 꾸준히 신경 쓰면 건강상 큰 문제 없이 잘 관리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거북목의경우 평소 자세적인문제로인해서 생길수있는데요 컴퓨터나 책을많이보는 사람의경우 등이굽고 머리가 앞쪽으로 이동하면서 거북목자세가 생길수있습니다~

    이럴때에는 집에서 꾸준한스트레칭과 운동이필요한데요 폼롤러를이용한 흉추의 신전스트레칭이나 코어운동등이 도움이될수있으니 유튜브를참고해 따라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선 현대 사회와 같이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이 많아지면서 거북목과 라운드 숄더와 같은 자세적인 문제는 충분히 나타날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않으셔도됩니다.

    거북목이라고 무조건 통증을 유발하는것은 아니지만 외적인 모습, 자세적인 문제, 근육의 불균형 등 다른 통증을 유발 할 수 있기에 체형적인 교정이 필요한 부분이긴 합니다.

    지금과 같은 상황이라고 너무 한심하다고 생각하지않으셔도 됩니다.

    그만큼 열심히 일 하셔서 나타난 증상 중 하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정상적인 교정은 힘들 수 있지만 거북목이 더 심해지지않게 관리와 정상에 가까운 교정은 충분히 가능하니 필요에 따라 병원에서 도수치료, 운동치료를 받아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또한 병원이 아닌 헬스, 요가, 명상, 필라테스 등 바른 자세를 배울 수 있는곳에서 바른 자세를 배우면서 꾸준히 연습해보시는것도 추천드립니다.

    교정은 장기간 레이스이기에 꾸준한 관리와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포기하지마시고 꾸준히 하셔서 건강한 삶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현대사회에서 거북목은 흔히 발생하는 질환중에 하나로 머리가 어깨보다 앞으로 튀어나온 상태로 목의 정상적인 C자 커브가 아닌 일자 또는 역 C자의 변형이 발생한 것을 의미하며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등을 많이 사용하면서 이러한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거북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평소 올바른 자세 유지 및 스트레칭 그리고 약한 근육에 대한 강화 운동등을 잘해주시는게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특별한 통증이나 불편감, 신경의 압박이나 염증과 같이 병적인 증상이나 불편감이 별다로 없다면 일상생활동작이나 자세습관등 장기간에 노출된 환경으로 인한 체형 변화로 볼 수 있습니다.

    체형변화는 그 자체로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지만, 건강상 큰 문제가 없다면 반드시 교정이 필요한 것은 아닐 수 있지만, 척추질환이나 근골격계 질환에 노출이 되기 쉬운 상태일 수 있기 때문에 진료시에 전문의에게 관련된 소견을 들어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