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탈노동을향하여
탈노동을향하여

아이가 초등학교 6학년인데 사춘기가 온 것으로 보이는데, 부모는 이런 아이에게 어떻게 대해야 할까요?

막내가 초등학교 6학년으로

최근 부쩍 집에 오면 할 것이 없다, 심심하다 등 온갖 이유로

투정을 부리는 것으로 보면 사춘기가 좀 일찍 온 것 같은데

부모는 이런 아이에게 어떻게 대해줘야 할 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의 사춘기에 따른 감정 기복이나 정체성 혼란에 따른 부모의 대응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감정 존중과 공감, 자율성 허용, 새로운 활동 탐색, 또래 관계 존중, 부모의 기대 조율 등으로 대처하면 좋겠습니다.

    사춘기가 온 아이는 제2차 성징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의 몸으로 변해 갑니다.

    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이 생깁니다.

    더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됩니다.

    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겨울잠을 자러 들어간 곰이라고 생각하고 새봄에 동굴로 나올때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

    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아이는 간섭한다고 생각하여 서로간의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이해하고 공감해준다면 아이도 마음을 열고 대화를 하려 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사춘기에 접어들었다면

    아이의 감정온도는 롤러코스터를 탄 것 마냥 기분의 변화는 오르락.내리락 하면서

    자신의 뜻과 다르게 말을 내뱉고 행동을 하는 경향이 높아질 것입니다.

    자신의 마음과 달리 행동을 하는 자기 모습을 보면서 아이 또한 많이 당황도 할 것이고

    난처하기도 할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방법은 대화적인 소통의 시간을 가지는 것입니다.

    아이의 사춘기를 그대로 존중해주면서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아이의 감정을 충분히 공감해 준 후에 부모님의 생각을 전달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대화적인 시간을 통해 자기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춘기는 아이뿐만 아니라 부모도 힘든 시기임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성장해가는 과정이며, 완벽히 통제하거나 이해할 수 없는 변화를 겪는 시기임을 받아들이면서 마음을 재정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자율성과 독립심을 키울 수 있도록, 너무 간섭하지 않으면서도 필요한 순간에 지원해주는 역할이 필요하구요. 아이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믿고 지켜봐주되, 힘들어할 때는 함께 해주는 든든한 후원자 역할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6학년 아이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사춘기 변화가 시작되는 시기라 감정 기복이 심할 수 있습니다.

    보호자가 아이의 감정을 무시하거나 혼내기보다는 공감해주고, 그럴 수도 있다고 인정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규칙과 책임은 유지하되, 선택권을 주어서 자율성을 느끼게 해 주세요.

    관심과 애정을 꾸준히 표현하면서 아이가 혼자 생각할 시간을 갖도록 배려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 6학년은 사춘기 초기로 신체 변화와 함께 정서 기복이 심해집니다. 부모는 혼내기보다는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해주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심심하다' '투정' 같은 말 뒤에는 관심, 자율성, 자기표현 욕구가 숨겨져 있으니 짧게라도 함꼐 활동하거나 선택권을 주는 방식이 좋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