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홀짝홀짝마셔봐
홀짝홀짝마셔봐

10.15 대책 이후 규제 지역이 오히려 집값이 더 올랐나요?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규제 지역 아파트 가격이 오히려 더 많이 올랐다고 하던데요..

이게 사실 인가요?

대책 발표 이후 한달 정도 지난 시점인데..

어떤 곳은 1억, 또 다른 곳은 3억원이 넘게 올랐다고 합니다.

규제 지역에서 거래가 된 것으로 보면 현금으로 거래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건데..

현금부자들이 웃돈을 주고서도 거래를 하고 있는 건가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질문에서 설명한 부분은 수도권에서 규제를 피한 지역에서 나타난 수치를 말하시는듯 보입니다. 현재 서울 전역 및 경기권 12개 규제지역에서는 거래량이 80%가까이 급감하였고 실제 가격 상승률도 크게 완화된 상태입니다. 다만 10.15이전부터 규제지역에 해당되었던 강남3구와 용산구에서는 거래량 감소가 새로지정된 지역보다는 낮은 편이였으나, 가격상승세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최근 11월 첫째주 0.19%로 이전 0.5%보다 축소된거승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규제를 피한 수도권 지역 대표적으로 경기도 동탄과 화성시등에서는 풍선효과 인한 거래량 증가와 가격상승세가 나타났으며, 질문에서 말한 예시 또한 해당 토지거래허가구역 제외지역에서 나타난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상원 공인중개사입니다.

    대체적으로는 거래량 자체가 많이 줄어서 금액이 부분적으로 오르는 현상이 "일부" 발생할 수도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일시적이고 국지적인 현상으로 보이며, 꼭 필요한 실수요자가 있으나 거래량 자체가 많이 없어 매도자 유리한 상황이 잠시 만들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10.15 부동산 대책이후 전반적으로 거래가 줄고 가격이 보합 상태이지만 똘똘한 한채 심리로 인해서 인기지역 즉 강남3구 및 마용성등은 오히려 가격이 올라서 서울 평균적으로 볼 경우 아파트 가격이 상승을 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즉 10.15 부동산 대책은 수요억제 정책이고 그 기본은 대출규제라 볼 수 있는데 인기지역 강남3구 마용성등은 대출과 상관이 없는 현금부자들의 거래로 이러한 서울 평균 주택 가격을 상승에 기인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규제가 깊어 질수록 이러한 양극화는 더욱 심화 될 것으로 보여 지고 추가 부작용으로 풍선효과로 규제외 지역이 다시 상승을 할 위험도 있다고 사료됩니다.

    금리를 인하를 하고 건설경기를 부양하고, 또한 재건축 및 재개발 규제를 풀어서 대규모 공급에 좀 더 신경을 써야 되지 않을까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네 서울과 수도권 핵심지역 중심으로 10.15대책 이후로도 가격이 계속해서 오르고 있습니다.

    다만 거래량은 많이 줄어 현금 부자들이 가격을 올리는 느낌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채정식 공인중개사입니다.

    10.15 대책 이후 규제지역 일부 고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을 하였습니다 거래량은 급감을 하였지만 현금 부자들이 웃돈을 주고 거래하는 현상이 존재한다 볼 수 있고 저가 및 중저가 매매는 위축되어 시작 양극화와 함께 똘똘한 한 채 현상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10.15 규제정책 발표된 후 서울주요지역의 주택 거래량은 많이 줄어든 반면, 수원시 권선구, 화성시, 경기도 파주시 및 구리시, 군포시 등은 거래량이 높게 나타나는 등 풍선효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거래량은 줄어들었지만 서울주요지역은 여전히 주택 가격은 상승을 하고 있으며, 특히 토지거래허가지역으로 묶이게된 지역외의 경기도 비규제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 매매 가격 상승률이 오르고 있는데, 경기도 구리시, 화성시, 용인 기흥구, 인천 서구 등은 역세권을 중심으로 높은 가격 상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규제지역은 현금을 동원한 거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규제지역 지정 이후 전반적인 상승세가 꺾였다고는 할 수 있고 평균 상승률이 둔화된 게 통계로 확인됩니다

    하지만 오히려 더 많이 올랐다는 발언이 완전 틀렸다고도 할 수 없습니다

    일부 입지·단지 조건이 매우 좋은 곳에서 상승폭이 유지되거나 더 커졌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

    그리고 현금부자들이 웃돈 주고 거래했다는 소문에 대해서는 단정하긴 어렵지만 가능성은 있습니다

    규제강화로 대출이 힘들어졌고 자금 여력이 있는 사람이 빨리 들어가자는 심리로 매수에 나섰을 수 있습니다

    서울은 땅면적이 좁고 공급이 부족해서 상급지는 여전히 매수세력이 있어서 현금을 가지고 있는 분들은 오히려 유리한 조건으로 매수할수 있는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입니다.

    10.15 대책 직후 규제 지역에서는 거래가 급감한 대신 일부 인기 단지에서 신고가 소수가 찍히며 몇어기 올랐다는 사례가 나온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이는 전체 시장 흐름이라기 보다 희소 매물에 현금 여력이 큰 수요가 붙으면서 생긴 국지적 현상에 가깝습니다.

  •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규제 지역 아파트 가격이 오히려 더 많이 올랐다고 하던데요..

    이게 사실 인가요?

    대책 발표 이후 한달 정도 지난 시점인데..

    어떤 곳은 1억, 또 다른 곳은 3억원이 넘게 올랐다고 합니다.

    규제 지역에서 거래가 된 것으로 보면 현금으로 거래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건데..

    현금부자들이 웃돈을 주고서도 거래를 하고 있는 건가요??

    ==> 정부의 10. 15정책 발표이후 서울다른 지역은 거래가 감소되었으나 강남 3구는 가격이 더오른 것으로 언론은 보도하고 있습니다. 이는 현금을 많이 가진다는 정부의 정책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고 강남 3구의 불패를 다시한번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에서 규제를 많이 하면 할 수록 부동산 양극화는 심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