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갸름한원숭이116
갸름한원숭이11623.02.01

1930년대 미국에서 경제대공황이 온 이유

1930년대 미국에 손에 꼽을 정도로 기록되는 경제대공황이 왔다는데, 이 시기에 미국에서 경제대공황이 온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대공황 검은 화요일로 알려진 1929년 월스트리트 대폭락(1929년 10월말)으로 인해서 촉발되었습니다.

    오늘날의 경제학자들은 연준의 통화량 감소 정책과 금본위제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당시 미국을 시작으로 해서 세계 경제 대공황이 발생했던 순서에 대해서 정리해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 19세기 말 무분별한 공장의 건설 및 생산량 증가

    • 공급의 과잉을 메꾸기 위한 새로운 수요처 발굴 (전쟁을 통한 식민지개척)

    • 전쟁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계속적인 투자수요가 발생하여 계속적인 성장을 함(미국)

    • 하지만 미국 부의 60%를 인구의 1%가 소유하는 불균형의 성장

    • 소비층의 부재로 인한 경기침체 발생

      (위의 전쟁 상황 및 투자증가로 거의 대부분이 주식에 수요가 몰려 주식 가격이 크게 상승한 상태였음)

    • 전쟁을 통한 식민지 수요처 확대의 한계점 도달

    • 대규모 경기침체로 인한 미국의 경기침체 발생

    • 미국에 투자된 자본의 대규모 이탈(자본회수)

    • 1929년도 외국인 자본의 대량 주식매도 사태 발생

    • 미 자본가들의 세계 각국에 투자된 자본의 회수 시작

    • 각국에 투자된 자본회수로 인하여 세계 각국도 화폐량 감소로 경기침체 시작

    • 1930년도까지 대공황 지속

    당시 세계 대공황의 주된 원인은 '전쟁으로 인한 경제 확장이 전쟁이 끝남과 함께 멈추었다'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30년대 미국의 대공황은 주식시장의 붕괴, 1920년대의 10년에 걸친 경제 호황으로 인한 경제 거품, ​​은행 시스템의 실패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했습니다. 또한 세계 무역 감소, 농업 과잉 생산 및 구매력 감소는 모두 불황의 심각성과 기간에 기여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1930년대, 재정 지출이 줄어 소득이 감소하였다는 것입니다. 그 당시 정치가들은 재정 정책을 이용하여 생산 및 고용을 유지하기보다 균형 예산에 더욱 관심을 가졌다고 하네요. 통화 가설에 의하면 미국 연방 준비 제도이사회(연준)가 통화를 긴축한 결과, 대공황이 발생하였다는 주장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930년대 미국에서의 경제 대공황(The Great Depression)의 주요 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경제 오버핏 : 1920년대 후반에 자동차 산업 등의 빠른 성장과 주택 건설 등의 급증으로 인해 경제가 과하게 확장되어 경제 오버핏이 발생하였습니다.

    2. 주식 시장 추락 : 1929년 10월 24일, 뉴욕 증권 거래소에서 대규모 주식 매도 충격이 발생하여 주식 시장이 추락하였습니다.

    3. 금융 위기 : 주식 시장의 추락으로 인해 금융 기관의 자금 부족 등 금융 위기가 발생하였습니다.

    4. 무역 불균형: 미국은 1920년대에 세계적인 무역의 주축이었지만, 다른 국가들에게 대출한 돈을 갚지 못하고 결국 무역 불균형이 발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