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22.04.08

아이들에게 회초리의 개념을 알려주는게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훈육법중에 아무리말로해도 결국에는 나아지는게없을때 회초리를 들게되는데요,

막 무식하게 패는게아니구요,

부모님 지갑에서 돈을 빼간다거나 하는 큰 잘못에대해서만 혼을 냅니다.

정말 말도안되는 큰 도덕적해이를 일으킬때만 회초리를 사용해도 애들 정서에 악영향이있을까요?

평소에는 물론 엄청예뻐합니다. 같이 활동도많이하구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무슨일이 있어도 아이를 때려서 훈육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회초리보다는 아이에게 단호하고 일관된 태도로 훈육을 시도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13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외에도 체벌은 아이의 폭력적 성향을 높인다거나 부모에게 매를 맞은 아이는 인지능력이 떨어지거나 지능지수가 하락을 가져온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사랑의 매가 갖는 긍정적 요소도 있겠지만, 부정적 요소가 강하다는 것이 대부분 전문가들의 이야기입니다. 교육과 훈육의 가장 최우선은 대화와 소통이며 그리고 그 속에 부모의 인내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회초리를 드는 것은 아이에게 좋지 않습니다. 회초리가 무서워 일시적으로 하지 않는 효과만 있을 뿐 지속적인 변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지갑에 손을 대는 등 중대한 잘못을 했을 때만 회초리를 드시는군요. 이해가 갑니다. 하지만 아이의 인성교육에 체벌은 도움이 되지않습니다.

    힘드시겠지만 아이에게 비신체적인 훈육법을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육아·아동 분야 전문가 김성훈아동심리삼당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이한테 신체적인 불이익을 가하는 것은 훈육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힘으로 제압하려는 모습은 아이에게 그순간을 벗어나려는 반응을 만들 수 있습니다.

    아이가 자신의 잘못을 인지하고 반복하지 않도록 대화해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매를 드는것 자체가 아이에게 불안감을 형성하게 되고 공포심을 주게 됩니다.

    아이는 그렇기에 평소에 많이 예뻐한다고 해도 어느순간 자신은 혼이나지 않을까 회초리를 들지 않을까 라는 불안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작은 매(가볍게 톡하는것)라도 아이에게 손을 대는것은 좋지 않으니 참고하시길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을 사랑한다는 전제 하에 회초리를 드는 건 괜찮다고 봅니다

    아이들도 평소에는 다정다감한 부모님이 갑자기 돌변하면, 본인들의 잘못으로 인해 부모가 정말 화가 많이 났다 라는 것을 깨닫고 다시는 그런 행동을 안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올바른 훈육을 위해서 약간의 체벌은 괜찮다라고 하지만 그래도 물리적 체벌이 지속될 경우 아이들은 스트레스를 받게 돼 스트레스 호르몬이 뇌의 장기기억 공간인 ‘해마체’ 같은 뇌의 일부분에 독으로 작용할 수 있으니 가급적 체벌은 하지 않아야 될 것 같습니다.

    큰 실수를 했을 경우엔 단호하게 훈육을 해야 하는 건 맞다고 생각하지만, 평상시 대하는 훈육의 정도에 따라서 아이도 반성을 깊게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에게 매를 들거나 무조건 안돼! 보다는 아이를 감정적으로 소통할 필요가 있습니다

    나쁜 행동을 한다면 왜 그런행동을 하는지를 살피실 필요가 있고 해당되는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를 해결하기위해 도와줄 필요도 있습니다

    무조건 오냐오냐 하는 것도 안좋다만 무조건 혼내는 것도 좋지 않기때문에 아이와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훈육에서는 엉덩이나 머리를 때리는 것을 포함해서 체벌을 훈육방법으로 쓰는 것은 어떤 연령에서든지 부적절합니다.

    아이를 때리면 일단 즉각적으로 문제가 된 행동을 멈출지도 모릅니다. 그렇지만 장기적으로 그 행동이 사라지게 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아이들에게 부모는 자신을 지켜주고 보호해주는 가장 중요한 존재인데, 그런 부모가 소리를 지르거나 때리면 아이들은 깜짝 놀라고 당황합니다. 일단 부모가 자신을 때렸다는 사실 외에는 아무것도 생각도 기억도 나지 않습니다. 우선 겁을 먹거나 아이들도 화가 나기 때문에, 자기가 뭘 잘못해서 맞았는지, 그래서 엄마가 뭐라고 말하는지를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디 잘 해결 되시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