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꽤장엄한코끼리
꽤장엄한코끼리

초등학교에 공부 잘한다고 중,고등학교때 공부 잘할 확률 높을까요?

아이가 초등학교 3학년인데 공부를 하라고 하면 나중에 하면 된다고 합니다. 공부가 하기 싫어서 핑계를 대는거 같은데 어떻게하면 공부를 자발적으로 할까요? 초등학교떄부터 공부하는 습관을 들여야 중,고등학교때도 공부를 잘 할 수 있다는걸 근거를 들어서 말해주고 싶거든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초등학교 때 공부를 잘한 아이가 중고등학교 때도 연속성 있게 공부를 잘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기초 학력 확보, 자기주도학습 능력, 성취감과 자신감 등

    초등학교 성취의 긍정적인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중고등학교에서 교과 난이도 상승, 심리정서 발달 변화, 내신 경쟁과 평가 방식 변화, 동기 변화로 인한 변수들이 등장할 수도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초등학교 때 공부를 잘한다고 해서

    중.고등학교 까지 그 성적이 꾸준히 유지 되어가는 것은 아닙니다.

    아이가 얼마나 학습적인 노력을 매일 반복적으로 얼마나 그 과정을 꾸준히 이어갔느냐

    즉, 학습의 이해도와 인지, 학습의 예습.복습, 집중력 등의 반복적인 부분이 중요 합니다.

    아이에게 알려 줄 것은 학습적 동기 입니다.

    즉, 왜 학습을 해야만 하는가 라는 그 이유를 아이가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쉽게 눈높이에 맞춰 적절하게 설명을 해주면서

    인지시켜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교때 높다고 나중에 높다고는 볼수없으나 공부습관이 잘잡힌 아이라면 고학년이되어도 잘할가능성이높아요

  • 안녕하세요.

    초등학교에서 공부를 잘하면 중고등학교에서도 공부를 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만,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다만, 초등학교에서 공부를 잘하지 못하면 그때에는 중고등학교에서 다소 적응하기 어려울 수도 있음을 고려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교 시기에 공부 습관을 잘 형성하면 중·고등학교 때에도 학업 성취도가 높을 가능성이 큽니다.

    실제로 여러 연구에서 어린 시절 형성된 자기주도 학습 습관이 이후에도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혀졌으며 초등학교 2~3학년 시기의 학습 태도와 습관이 중·고등학교에서의 성적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자기관리 능력과도 연결된다고 합니다.

    아이가 "나중에 할 거야"라고 미루는 것은 흔한 모습이지만 작은 목표를 함께 세우고 학습 과정에서 스스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격려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지금 시기부터 일상 속에서 규칙적인 공부 시간과 올바른 습관을 자연스럽게 만들어주는 것이 중·고등학교에서도 꾸준히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학교에서도 저학년 때 잘하던 아이는 고학년 때 다시 만나도 잘하고, 저학년 때 집중력이 부족하고 학습 습관이 잡히지 않은 아이는 고학년 때도 같은 모습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