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닝뛸 때 오른쪽 윗배에 통증이 있는 건 어떤 이유때문인가요?
요즘 아침 혹은 저녁 시간대에 꾸준히 러닝을 뛰고 있습니다.
러닝 전에는 식사를 하게 되면 배가 아파서 따로 식사를 하지 않거나 러닝 후에 식사를 하게 되는데요, 며칠 전에는 러닝뛸 때 오른쪽 윗배에 통증이 느껴지더라고요.
보통 러닝할 때 오른쪽 윗배에 통증이 느껴지는건 어떤 이유에서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러닝을뛸때 배에서 통증과불편감이생긴다면 근육의긴장이나 식사후에 위경련등이 문제일수있습니다~
식사후에는 충분히 소화시킬수있는 시간을 주고나서 운동을하는것을 추천합니다~
좀더자세한건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을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러닝 중 오른쪽 윗배에 통증이 느껴지는 것은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운동 중 복부 근육의 긴장이나 경련이며, 특히 식사 후 바로 운동을 할 경우 통증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또 간이나 담낭과 관련된 문제일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측 윗배쪽인지, 옆구리 갈비뼈쪽인지 감별이 필요합니다.
호흡이 문제일 수 있고 간이 안좋거나 그 부분에 내장기관이 안좋아서 그럴 수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통증이 생기거나 좀 심한 경우에는 병원에 내원하셔서 진료를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정형외과를 먼저 찾아가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아직까지 정확한 근거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사이드 스티치라는 횡경막에 혈액공급이 제대로 되지않아 횡경막을 지배하는 신경인 늑간신경에 연관통과 횡경막 경련이 나타나 통증을 일으킨다는 말이 있습니다.
다른 근거로는 뛸 때 횡경막과 복막에 마찰로 인해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는 말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러닝을 어떤 강도로 하는지 잘 모르겠지만, 러닝 자체가 상체를 구부려서 하는 운동이기 때문에 상체를 구부리는 복부 쪽 근육이 많이 수축합니다. 그에 따라 복부 근육이 명치부위까지 붙어있기에 그 긴장에 따라 통증으로 나오는거같습니다. 테스트로는 몸을 구부렸을때 안아프고 몸을 피려고 할때 아프면 복부 단축으로 볼 수 있습니다. 복부를 뜨거운물이나 마사지로 이완시키시면 완화될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시적인 근육 피로, 호흡으로 인한 횡경막의 과사용, 달리는도중 가스 방출이 원활 하지않은 경우도있습니다.
해결 방법으로는 우선 가볍게 러닝을 시작하여 천천히 강도를 올리는것이 좋습니다.
또한 숨이 벅차오를만큼의 러닝이 아닌 호흡이 편한 러닝 포커스를 맞춰주는게 좋습니다.
러닝시 2~3시간 전엔 금식을 추천드리며 평소에 장 마사지, 스트레칭등을 꾸준하게 해주시길 바랍니다.
만약 러닝 이후에도 통증이 계속된다면 내과를 방문하시는것도 추천드립니다.
안전한 러닝과 함께 건강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창우 물리치료사입니다.
달리기 복통은 주로 오른쪽 윗쪽 복부에 나타나는게 일반적인데요.
윗쪽 복부에 대한 통증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런닝을 하는 과정에서 장기가 흔들리게 되는데요, 이때 간이 횡경막을 치게 되면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당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호흡 방법을 바꾸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다만 이 부분은 오래걸릴 수 있어, 복식호흡에 대한 훈련과 복근에 대한 강화를 우선적으로 한 후 호흡 방법을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달리기를 할 떄 통증이 있는 경우는 대부분 근육통증입니다
따라서 스트레칭을 충분히 함으로써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뛰는 경우 윗배에 나타나는 통증의 원인 중 하나는 횡격막과 간을 이어주는 인대가 당겨지면서 발생하는 것 입니다.
평소와 달리 러닝 시에 윗배에서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 호흡법을 바꿔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러닝시에 호흡벚이 적절하지 않은경우나 지나치게 강할경우 인대가 당겨지며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혹은 러닝시작전에 가볍게 운동을 하셔서 몸을 가볍게 웜업 시켜주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불편감이 지속되신다면 병원에 방문하셔서 의료진과 대면진료로 원인을 찾아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