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가 나면 물건을 던지고 소리를 지르는 아이 어떻게 훈육해야 하나요?
아이가 화가 나면 물건을 던지거나 소리를 지르며 감정을 폭발시킵니다. 감정을 표현하는 건 중요하지만, 위험하거나 무례한 행동은 제지해야 할 것 같은데, 이런 상황에서 효과적인 훈육 방법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화가 났다 라는 것은
아이도 사람 이기 때문에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활용하는 부분이 큽니다.
그러나 물건을 던지는 행위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태도는 바람직 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행동은 옳지 않음을
아이에게 알려 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아이가 물건을 던진다면 그 즉시 아이의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방 안으로 데리고 들어가
아이를 앉히고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함으로 물건을 던지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전달한 후,
왜 물건을 던지는 행동이 옳지 않은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잘 알려주도록 하세요.
안녕하세요. 장윤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화가 난다고 물건을 던지거나 소리친다면 자신의 생각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것 같습니다 우선 전문가와 만나보시고, 잘못된 행동에는 단호하게 대처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분노 폭발 자체를 바로 막기보다, 위험한 행동만 즉시 중단시키고 감정을 말로 표현 하도록 돕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상황이 지나간 후 짧게 원칙을 확인하고, 평소 감정 조절 연습을 반복하면 행동 문제는 안정적으로 개선됩니다.
안녕하세요.
아이가 화를 내는 것은 감정을 표현할 줄 안다는 신호이지만, 폭력적인 행동은 분명히 경계할 필요가 있습니다.
먼저 즉각적으로 던지는 건 위험해서 안 된다고 단호하고 짧게 제지하되, 감정을 비난하지는 않도록 합니다.
아이가 진정이 된 후에는 화가 났을 때는 이렇게 말로 표현하자고 대체 행동을 구체적으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아이가 차분해졌을 때, 공감해 주는 말을 하면 안정감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평소에도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감정 조절 놀이, 감정 카드 놀이 등을 하면 점자 자기조절 능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화를 낼 때는 먼저 감정을 인정하며 '화가 많이 났구나'처럼 공감으로 안정시킵니다. 이후 위험한 행동은 단호히 제지하고 '던지는 건 위험해, 말로 알려줘'처럼 대안을 제시합니다. 감정이 가라앉은 뒤엔 함께 원인을 이야기하며 감정 표현 방법을 연습시키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아이가 화가 났을 때 감정 표현이 서툴러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아이의 감정 표현은 건강한 성장 과정의 일부지만, 물건을 던지거나 소리를 지르는 행동은 안전과 타인을 고려할 때 제지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효과적인 훈육은 감정을 억누르기보다 표현 방법을 가르치는 데 초점을 둬야 합니다. 아이가 화를 낼 때 “화나는 건 괜찮지만, 던지는 건 위험해”처럼 감정을 인정하면서 행동의 경계를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정이 가라앉은 후에는 아이와 함께 왜 그런 행동이 나왔는지 이야기하고, 대체 행동(예: 말로 표현하기, 휴식하기)을 연습시키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일관된 반응과 안전한 환경 속에서 아이는 점차 자기조절 능력을 키워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