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가즈아인생살이
가즈아인생살이

전 모든 식물에는 엽록체가 있는 줄 알았는데 혹시 엽록체가 없는 식물도 있을까요?

제가 아는 상식으로는 모든 식물 종류에는 엽록체 (혹은 엽록소) 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어디서 들으니깐 엽록체 (혹은 엽록소) 가 없는 식물도 존재한다고 하던데

실제로 그런 식물이 지구 상에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엽록체가 없는 식물도 있습니다.

    보통 식물은 엽록체를 이용해 광합성을 하여 스스로 양분을 만들지만, 일부 식물은 진화 과정에서 엽록체를 잃거나 퇴화시켜 다른 방식으로 양분을 얻습니다. 이러한 식물들은 크게 기생식물과 부생식물 이렇게 두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생 식물은 다른 식물에 기생하여 숙주로부터 양분을 흡수합니다.

    대표적인 '새삼'은 줄기 형태의 기생 식물로, 숙주 식물에 휘감겨 양분을 빨아먹습니다. 엽록소가 없어 노란색 또는 오렌지색을 띠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생 식물은 과거 죽은 유기물로부터 직접 양분을 얻는다고 생각되었으나, 현재는 대부분의 부생 식물들이 특정 곰팡이와 공생하여 곰팡이가 유기물을 분해하여 얻은 양분을 전달받는 방식으로 살아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수정란풀이나 버섯대도 이 범주에 속한다고 볼 수 있는데, 엽록체가 없어 광합성을 하지 못하고, 특정 곰팡이와 공생하여 곰팡이가 얻은 양분을 넘겨받아 생활하며, 줄기와 꽃은 흰색을 띠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우선 제가 아느 정보로는 그리고 검색을 해도 없는것 같아요

    다 존재를 하고요

    심해 식물중에서 빛이 오지 않는거리에서 자생을 하는 식물이 발견되면 가능성이 있답니다.

  • 네, 엽록체가 없는 식물도 실제로 존재합니다. 이러한 식물들은 스스로 광합성을 하지 못하고 다른 식물이나 유기물로부터 영양분을 얻어 살아갑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수정란풀, 나도수정초, 새삼, 겨우살이 등이 있으며, 이들은 기생식물 또는 부생식물로 분류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대부분의 식물은 엽록체를 가지고 있지만, 솔잎란, 라플레시아, 새삼 같은 일부 기생식물이나 부생식물은 엽록체가 없거나 퇴화되어 있어 광합성을 하지 않고 다른 생물에 의존해 영양분을 얻기 때문에, 실제로 엽록체가 없는 식물도 존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