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생이나 친구를 툭툭 때리는 아이는 무엇이 문제일까요?
주변 사람들이 불편해하는 제스처를 취해도, 본인은 즐거우니 본인의 마음 가는대로 행동하는데, 집안에서 훈육이 없어서 그런걸까요? 아니면 부모의 행동을 모방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동생 및 친구를 툭툭 때리는 이유는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전달함이 미숙하기 때문에 행동으로 표현하기 때문 일 것입니다.
또한 상대에 대한 배려, 존중, 마음이해, 감정공감 등의 인성부분이 부족해도 친구 및 동생을 때리는 경우가 있겠습니다.
아이에게 친구 및 동생을 때리는 행동을 하였다면 그 즉시 행동을 제지하고 아이를 친구 및 동생이 보이지 않는 공간으로
데리고 가서 아이의 손을 잡고 아이의 눈을 마주치며 단호하게 친구와 동생을 때리는 행동은 옳지 않아 라고 말을 전달한 후, 왜 이러한 행동이 옳지 않은지 이에 대한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인성교육을 시켜주어 친구 및 동생을 배려하고 존중하고 친구와 동생의 마음을 이해 하면서 감정을 공감할 수 있도록 매일 밥상머리교육 시간을 통해서 인성교육을 꾸준히 시켜주고, 아이에게 자신의 감정은 상대를 때리는 것이 아니라 언어로 조곤조곤 전달을 해야 한다 라는 것을 알려주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이 미숙하여 그렇습니다.
본인 스스로 답답하고 말이 힘들어 마음 가는 대로 행동으로 표현할 때가 많죠.
이럴 때는 가정 내에서 규칙을 정하고 훈육을 통해서 설명해 줘야 합니다.
아이가 마음이 불편할 떄 타인을 툭툭 치는 행동은 감정 표현하는 방식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누군가에게 상처를 줄 수도 있기에 조심스러운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먼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계를 명확히 하고 감정을 다른 방식으로 푸는 방법 알려주기 등이 있습니다.
도움이 필요하면 어른이나 전문가에게 상담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동생이나 친구를 툭툭 때리는 아이의 행동은 여러 가지 원인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주변 사람들의 불편함을 인식하지 못하고 자신의 즐거움만을 따라 행동하는 경우 이는 아직 사회적 규범이나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능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집안에서 일관된 훈육이 부족하거나 부모가 감정을 다루는 방식에서 공격적이거나 충동적인 모습을 자주 보인다면 아이가 이를 모방해 비슷한 행동을 할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또한 아이가 자신의 감정이나 욕구를 적절히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했을 때 신체적 제스처로 자신의 의사를 드러내려 할 수 있습니다.
이런 행동은 단순한 호기심이나 관심 끌기, 또는 질투와 같은 감정의 표현일 수도 있으므로 아이가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원인을 이해하고 감정과 욕구를 말로 표현하는 방법을 차근차근 가르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엇보다 부모가 모범을 보이고 일관성 있게 규칙을 알려주며 아이의 긍정적인 행동을 칭찬해 주는 환경이 아이의 사회적 성장에 큰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동생이나 친구를 툭툭 때리는 건 주로 충동조절이 아직 미숙하거나, 관심을 끌기 위해, 혹인 장난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집에서 적절히 제지하거나 훈육을 받지 못했거나, 부모가 무심코 비슷한 행동(툭 치며 장난치는 등)을 보여서 그대로 모방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표현 방법을 가르쳐주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동생이나 친구를 툭툭 때리는 행동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아이가 타인의 감정을 공감하는 능력이 아직 미숙하여 장난과 폭력의 경계를 모를 수 있습니다. 둘재는 집안에서 그런 행동에 대한 명확한 훈육이나 제재가 없다면, 아이는 이 정도는 괜찮다고 인식할 수 있어요. 셋째로 부모나 주변 어른이 비슷한 행동을 하거나, 감정 조절을 잘 못하는 모습을 자주 보였다면 모방할 수도 있습니다. 관심을 받고 싶은 마음에 일부러 튀는 행동을 하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아이의 행동의 배경에 어떠한 감정이나 환경이 있는지 살펴 보면서 지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