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윰난나
윰난나

이전 직장에서 퇴직금은 제대로 받지 못했는데요

프리랜서 학원강사이고

당시에는 몰랐는데

전전 직장에서 퇴직금을 제대로 받지 못한 상황이라는걸

최근해야 인지하게 되었는데요.

따로 조건 필요 없이 노동청에 접수하면 처리 받을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라 임금채권은 3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시효로 소멸합니다. 3년 이내라면 임금체불 진정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라는 점 및 퇴직금 요건을 충족하였다는 점에 대한 객관적인 입증자료를 구비하여 사업장 소재지 관할 노동청에 진정을 제기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김호병 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퇴직 후 3년이 지나지 않았다면 신고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주현종 노무사입니다.

      1. 퇴직금 소멸시효는 퇴직금을 청구할 수 있는 날, 즉 퇴직한 날로부터 3년까지 이므로 소멸시효가 아직 지나지 않았다면 퇴직금 청구가 가능합니다.

      2. 프리랜서 학원강사로 근무한 경우라면 곧바로 근로기준법이 적용되지 않아 퇴직금 지급 대상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노동청에 신고는 할 수 있으나, 조사를 통해 퇴직금 지급 대상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은 필요해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중 노무사입니다.

      실제로 프리랜서면 노동법이 적용되지 않고 퇴직금이 없습니다. 이름만 프리랜서이고 실제로 근로자이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노동청에 신고만 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영 노무사입니다.

      사업주가 임의로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에 대하여 관할 고용노동지청에 진정/고소를 제기하여 사업주에 대한 처벌을 구함으로써 지급을 간접적으로 강제할 수 있습니다. 직접적인 강제는 민사소송을 통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대진 노무사입니다.

      근로기준법 상 근로자임을 증명하여야 퇴직금에 대한 사용자의 지급의무가 발생합니다. 노동청에 접수하시고 계약의 내용, 실질적 근로관계, 근무기록 등으로 이를 증명하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서 1주간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고 계속근로기간이 1년 이상이면 퇴직할 때 퇴직금을 청구할 수 있으며, 퇴직일로부터 3년이 지나지 않았다면 관할 노동청에 진정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퇴직금 채권의 소멸시효는 3년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3년이 지나지 않았다면 지금이라도 퇴직금 체불에 대해 노동청에

      진정을 제기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