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플리한라이트머스
플리한라이트머스

부모에게도 아이에 대한 분리불안 증상이 생길 수 있을까요?

아이들은 분리 불안이 생기는 경우가 은근히 많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반대로 부모님들에게도 아이와 떨어지졌을때 마음이 불안해지는 분리불안증이 생길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네. 흔히 아이에게 집착하는 부모가 이 유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아이가 눈에 보이지 않으면 괜히 불안하고 걱정되는 마음 말이죠.

    아이들도 분리불안이 있지만, 양육자도 분리불안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고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도 분리불안 증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는 자연스러운 감정이지만, 부모가 자신의 불안감을 관리하지 못하면 아이에게도 불안이 전이될 수 있으니 부모 자신도 적절한 거리두기와 자율성을 존중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네 의학 지식들을 찾아보니 부모도 아이와 떨어질 때 충분히 분리불안을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분리불안은 어린아이들이 부모와 떨어질 때 겪는 현상으로 여겨지지만, 부모 역시 처음으로 아이를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보내거나, 아이와 밤에 떨어져 있을 때 불안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모가 분리불안을 겪으면 아이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어, 불안한 모습은 아이에게 전달되어 아이의 분리불안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부모가 자신의 감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와의 이별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짧은 시간 동안만 떨어져 있는 작은 분리 연습을 통해 두려움을 줄여나갈 수 있습니다. 부모 스스로 자신의 불안감을 인식하고 다루는 것이 필요하며, 아이에게는 안전한 애착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와의 충분한 교감을 통해 사랑과 신뢰를 주고, 이별 상황에서도 곧 다시 만날 것이라는 안심을 주는 대화가 필요합니다. 부모가 자신의 감정을 잘 관리하면, 아이도 분리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분리불안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만 불안함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성인 즉 부모님들도 불안한 마음이 생길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부모님의 마음가짐 입니다.부모님이 불안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면 그 감정이 아이에게 고스란히 전달되어

    아이 역시도 불안함을 가지게 됩니다.

    그렇기에 부모님 먼저 불안함을 제거하고, 아이에게 안정감을 제공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우선은 부모님의 불안함은 스트레스와 과거의 트라우마, 많은 생각과 고민들 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나만의 스트레스 해소 법을 찾고, 많은 생각과 고민은 떨쳐버리고 좋은 생각을 떠올리고 좋은 생각만 하면서 긍정적인 모습으로 밝게 살아가는 것이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부모 또한 아이에 대한 애착과 사랑으로 인해 혼자서 잘 적응 할지에 대해 불안함을 느낌니다.

    부모님 또한 본인의 스스로의 감정을 돌아보고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하시며,

    자기 관리를 통해 노력하시는 것이 좋겟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분리 불안의 경우에는 먼저 아이들에게 생기는 것이라고 합니다. 분리 불안이 생기는 이유는 보통 부모님과의 애착이 형성되지 않아서라고 합니다. 따라서 부모님께서는 아이들이 어릴때에 아이가 느낄 수 있도록 해주시는게 중요하겠습니다. 그리고 부모님에게도 이런 분리 불안이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아이는 엄마만 찾는데 어떠한 이유로 단기간 혼자서 지낸다고 한다면 엄마에게도 분리 불안이 생길 수 있다고 합니다. 이는 당연한것이고 현명하게 극복을 하셔야 되겟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도 아이에 대한 분리불안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아이와 많은 시간을 함게 보낸 부모일수록 아이와 떨어질 때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의 안전이나 행복에 대한 걱정, 부모로서의 역할에 대한 책임감 등이 이러한 불안을 촉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울거나 불안해할 때 부모는 그 감정을 공유하게 되어 더욱 긴장하게 됩니다. 부모의 분리불안을 줄이기 위해서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에게도 아이에 대한 분리불안 증상이 생길수 있습니다. 아이와 강한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기 떄문에 아이가 분리될때 불안이나 걱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