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꼼꼼한꿩229
꼼꼼한꿩229

집값상승이유가 궁금합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다가 자재비 인권비 상승으로 분양가 상승은 알겠는데 19년도 12월 이후 집값이 2배 오른 집값의 이유는 무엇인가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건설사에서 집을 지을 때 대부분의 경우 브릿지론을 동원해 땅 구입부터 대출을 사용하며 이후 PF대출로 갈아타게 됩니다. 아파트 같은 큰 규모의 주택을 지을 때 엄청난 대출을 하여 집을 지으니 그에 대한 비용을 고려해야하고, 자재비, 인건비, 관리비에 마진까지 챙기려면 엄청난 돈이 필요하겠지요. 건설업은 대체로 마진이 좋은 사업이라 많은 기업들이 투자를 하는데 결국 모든 것이 집값을 구성하게 되니 높은 가격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집값이 급격히 상승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2020년부터 시작된 저금리 정책은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낮추어 더 많은 사람들이 주택을 구매할 수 있게 했습니다. 이는 주택 수요를 증가시켜 집값 상승을 촉진했습니다. 정부의 경기 부양책으로 인해 시장에 유동성이 많이 공급되었고, 이는 부동산 시장으로 흘러들어가 집값 상승을 유발했습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주택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집값이 상승했습니다. 특히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는 주택 공급이 제한적이어서 가격이 더 많이 올랐습니다. 부동산이 안정적인 투자처로 인식되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주택 시장에 뛰어들었습니다. 이는 주택 가격을 더욱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 변화도 집값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규제 완화나 세제 혜택 등이 주택 구매를 촉진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제동 공인중개사입니다.

    요즈음 집갑 상승 요인은 서울 지역에 한정된 통계 결과라고 봅니다

    현재 일부 지방은 아파트 미분양으로 주택카격이 보합상태인데 지방까지 언제 동조화될지? 는 시간을 두고 판단해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지방의 인구가 수도권 집중 현상으로 감소의 속도 추세를 분석해 보아야 합니디

    그리고 일부 몰지각한 투기세력의 준동도묵콰할 수 없는 현상입니다

    당연히 서울지역은 공급 부족 문제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봅니다

    주택을 지을 부지가 없어 그린밸드까지 해제하여 공공임대 주택지를 공급하려는 정책을 추진하려는 의도는 단적으로 주택부지의 부족을 증명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아파트가격이 상승할것이란 부동산 심리적 변화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부동산 가격이 들썩거리기 시작하는 것도간과할수 없는 현상으로 보아야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아무래도 시장에 많은 현금이 풀리는 이유로 인해서 자산 가격이 매우 크게 올랐습니다. 상승률 이라는 것이 상승하게되면 걷잡을 수 없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우선 19년 이후로 갑자기 크게 오른 이유 중에는 장기간의 저금리로 인해서 자산시장에 많은 유동화 상태가 지속되어 많은 현금이 풀린 이유로 인해 투자의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주식 부동산 비트코인등으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이 생겼습니다. 게다가 그동안 유튜브 등이 활성화되지 않았었으나 유튜브 등이 활성화 되고 이러한 투자로의 접근이 활발해진 이유도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분양가 상한제의 취약한 단점도 예로들 수 있습니다. 계속해서 높아지는 집값에 분양가 상한제로 지역들의 부동산 가격을 강제로 묶어 보다 보니 주변시세대비 매우 싼 값에 부동산을 공급했어 했고 그로인해서 수익률을 맞춰야 하니 순살아파트 가 탄생하게 된 것같습니다. 이렇듯 싸게 공급받았으나 주변시세 혹은 신축이다보니 그 이상의 가격으로 맞춰가다 보니 눌려있던 집값이 갑자기 상승하게 된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수년간 나타난 주택가격 상승이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로 인한 과열적인 낙관주의보다는 정책이나 경제 상황 변화 등 주택 가치의 실질적 변화에서 비롯 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2018년 이후 실시된 부동산 정책들에 의해 시장 환경과 가격 간 관계가 달라졌다는 것입니다.

    분양가 상한제가 대표적으로, 미래 주택공급 탄력성에 대한 시장수요자들의 기대에 영향을 주어 즉각적인 가격상승을 일으키게 되었습니다.
    주택수요가 낙관주의에서 비롯된 경우, 그런 비이성적인 낙관주의가 사라지면서 시장에 큰 충격을 주는 급격한 가격하락과 신용경색을 동반할 수 있어 사전적으로 대출 억제 등과 같은 수요 억제 정책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데 미래 주택가치의 실질적 상승으로 인해 수요가 증가하고 가격이 올랐다면, 이를 완화하기 위해선 공급 확대정책이 우선돼야 합니다.
    또한 주택가격의 상승을 저지하기 위해서는 수요 억제 위주의 정책보다 주택시장에서 공급의 탄력성을 확보하는 것이 우선시되야 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금리인상 및 건설비용 증가로 고분양가로 공급이 확대되고 있고, 금리인하의 기대감도 있으니 수요가 공급을 앞지르게 되면 다시금 상승은 불가피 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기존에 부동산이 다른 경제지표에 비해 상승을 하지 않고 있었던 점과 언론에 의해 가격이 상승한다고 보도가 자주 나오자 투자하려는 수요가 맞물렸고 서울의 경우 1~2인 가구수가 증가하여 수요가 폭등한 것도 있습니다. 예측 기관마다 다르지만 2035년~2050년까지 서울의 주택수요는 계속 될 거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19년이 이후로 원자재 공급대란에 따른 공급 부족과 금융위기 이후로 억눌렸던 주택의 대한 매수세가 폭발적으로 늘었던 점이 가장 큰 이유인 것 같습니다.

    또한 양적완화로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하게 되어 주택 매수세에 기름을 부은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구자균 공인중개사입니다.

    19년도 코로나로 인해 제로금리가 시작되어 시장에 돈이 풀어지니

    안전자산인 부동산으로 몰린 이유가 큽니다.

    다시 금리가 상승하여 22년 하락세를 맞고

    현재 세계정세로 인해 분양가가 상승되니, 다시 반등을 하고 있다 보시면 됩니다.

    ai로 복붙이 아닌, 직접 질문을 읽고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더 궁금하신 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입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다가 자재비 인권비 상승으로 분양가 상승은 알겠는데 19년도 12월 이후 집값이 2배 오른 집값의 이유는 무엇인가요 ?

    ==> 최근 집값 상승요인으로 미국발 기준금리가 인하될 것이라는 기대감, 건축자재가격 상승으로 인해서 부동산경기가 악화되면서 주택공급이 부족한 이유를 제시하고 있습니다.